
2026년 예산안 시정연설
“AI 사회로의 전환은 필연”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026년 예산안은 인공지능(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안”이라며 AI 집중 투자를 통해 도약과 성장을 이끌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4일 첫 본예산인 내년도 예산안을 설명을 위한 국회 시정연설에서 “겪어보지도 못한 국제 무역·통상 질서의 재편과 AI 대전환의 파도 앞에서 국가 생존을 모색해야 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AI 사회로의 전환은 필연”, “AI 시대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 등 AI 시대 전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예산 10조1,000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올해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피지컬 AI’ 육성에 5년간 6조원을 투입하고, 인재 양성 및 핵심 인프라 구축, 정부 차원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3만5,000장 조기 확보 등을 약속했다.
R&D 투자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 규모로 19.3% 확대 편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AI·R&D 중심의 확장 재정 기조 속에서도 “단 한 푼의 예산도 허투루 쓰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며 역대 최대 규모의 지출(27조원)을 삭감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세금에는 국민의 땀과 눈물이 배어있다”며 “미래 대비를 위해 꼭 필요한 예산은 과감하게 편성하되 불필요하거나 시급하지 않은 예산은 대폭 삭감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신속한 예산안 처리를 위한 초당적인 협력도 요청했다. 이날 시정 연설에는 제1야당인 국민의힘이 불참한 상태였다.
이 대통령은 “AI 시대, 미래 성장과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전략적 투자인 만큼 국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했다.
연설 말미에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정부는 열린 자세로 국회의 제안을 경청하고 좋은 대안은 언제든 수용하겠다”며 “비록 여야 간 입장의 차이는 존재하고 이렇게 안타까운 현실도 드러나지만, 국민과 나라를 위하는 진심은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