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후판. ⓒ현대제철
▲철강 후판. ⓒ현대제철

[SRT(에스알 타임스) 전지선 기자]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 반덤핑 관세를 예고하면서 철강 업계와 조선 업계는 희비가 갈렸다.

국내산 후판을 제작했던 철강 업계에서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철강 시장의 정상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중국산 후판을 사용했던 조선 업계는 가격 부담이 커졌다. 현재 중국산 후판 가격은 1톤 당 78만5,000원으로 국산(1톤 당 90만원)보다 12.7% 저렴하다. 

◆ 정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과세 예고철강업계 반색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저가형 중국산 후판의 덤핑을 방지하기 위해 27.91%~38.02% 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크게 반발했다. 중국 국영언론사 시나(Sina)는 같은날 중국 정부가 한국의 이같은 조치에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린지안(林建)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중국내 값싼 철강 대량 덤핑' 비판을 두고 "중국 철강산업은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보조금 정책 없이 주로 국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기반을 두고 있으며 수출 비율은 오랫동안 약 5%에 머물렀다"며 "(자국 수출량은)한국 등 기타 철강 생산국에 비해 훨씬 낮고 국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신에 따르면 린지안(林建)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중국내 값싼 철강 대량 덤핑' 비판을 두고 "중국 철강산업은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보조금 정책 없이 주로 국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기반을 두고 있으며 수출 비율은 오랫동안 약 5%에 머물렀다"고 말했다. ⓒ중국 국영 언론사 시나(Sina) 캡처
▲중국 외신에 따르면 린지안(林建)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중국내 값싼 철강 대량 덤핑' 비판을 두고 "중국 철강산업은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보조금 정책 없이 주로 국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기반을 두고 있으며 수출 비율은 오랫동안 약 5%에 머물렀다"고 말했다. ⓒ중국 국영 언론사 시나(Sina) 캡처

'철강 과잉생산'과 관련해서는 "중국의 철강 생산 능력과 생산량이 세계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중국의 철강 소비량도 세계 절반에 육박해 국제 시장에 진출하지 못했다"며 "일부 한국 언론은 시장 규칙과 상관없이 세계 철강 수요 감소와 자국의 경쟁력 부족을 중국의 탓으로 돌리려 하고 있다"고 했다.

철강업계는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반색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무역위에서도 중국의 덤핑수입에 대해 '국내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명시한 것처럼 중국의 덤핑은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 기업들은 값싼 중국산 후판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지난 4년새 중국산 후판 수입량이 3배 이상 뛰면서 2021년 약 44만톤을 웃돌던 중국 물량이 지난해 138만톤 수준까지 올랐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반덤핑 관세로 조선 업계가 우려하는 가격 부담에 대해서는 "국내 철강 업계는 고객사에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 대한 반덤핑 관세 소식에 이날 국내에서 후판을 생산하는 철강 기업 3사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포스코홀딩스는 전날보다 5.03%(1만3,500원) 높은 28만2,000원, 현대제철은 전날 대비 3.52%(900원)가 올라 2만6,50원에 마감했다. 동국제강 역시 같은 기준으로 12.22%(1,050원) 올라 9,640원으로 마감했다.

박현욱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국내 후판 3사의 후판 판매량 확대와 가격인상 가능성이 높아져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대제철은 중국산과 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덤핑 여부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는데 비중이 높은 열연강판에 대한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될 경우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의 실적 개선 기여도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 조선업계 “반덤핑 관세 조치 국내 조선업계 치명적“ 

반면 조선 업계는 중국에 대한 반덤핑 관세 예고와 관련해 피해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면서도 "최소한의 보호막 조치가 없어졌다"고 지적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통상 국내 조선사들이 20~30% 정도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 조치는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 한국 조선사들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조선 업체들은 자국산 저렴한 후판 뿐만 아니라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 조선사들은 최소한의 가격 경쟁력 대응을 위해 외국산 후판을 일부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특히 중소 조선사들은 반덤핑 관세 부과에 따른 후폭풍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조선사들의 중국산 비중은 약 20% 수준인데 반해 중소 조선사들의 중국산 비중은 절반 이상이 넘기 때문이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형 국내 조선사 기준으로 전체 후판 사용량의 중국산 비중은 약 20% 수준으로, 중국산 후판에 대해 30% 관세를 적용할 경우 원가율 1%포인트(p) 상승 요인이 된다"며 "중소형 조선사의 경우 중국산 비중이 40~50%에 달해 원가 부담이 높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