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 ‘AI 시대, ICT가 가야할 길’에 참석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선호균 기자
▲5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대한민국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 ‘AI 시대, ICT가 가야할 길’에 참석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선호균 기자

이통 산업 40년 AI 시대 직면...새 비전 제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이동통신 산업의 새 비전은 AI 산업·생활 혁신에 핵심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5일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연세대학교 바른 ICT연구소 주최로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AI시대, ICT가 가야 할 길’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AI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이 같이 말했다. 

이 토론회는 이동통신 산업 40주년을 맞아 ICT 영역의 성과를 돌아보고 AI 시대 경제적·사회적 가치 달성하는 데 ICT의 역할을 찾고자 마련됐다. 

유 사장은 “한국 이동통신 산업의 40년 역사는 곧 SK텔레콤의 40년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며 “SK텔레콤 CEO로서 한국 이동통신 40년 발자취를 간단히 되짚어 보며, 이동통신 40주년을 기념하는 이 자리를 축하하려고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유 사장은 “40년 전인 1984년을 떠올려 보면 이동통신은 부의 상징으로 제한된 소수만이 카폰 서비스를 이용했지만, 지금은 이동통신 가입률이 100%를 훌쩍 넘는 다회선 시대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엔 이동통신이 아날로그 방식 음성통화만 제공했지만, 오늘날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정보, 여가, 소통, 업무 등 수없이 많은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이동통신은 지난 40년간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과 방식을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바꿔놨다”고 강조했다. 

이동통신 40년 역사 이후 AI라는 새로운 시대에 직면해 있는 만큼 AI의 산업·생활 혁신에 핵심역할을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또한 유 사장은 SK텔레콤의 AI 피라미드 전략에 대해 ▲AI 인프라 ▲AI 서비스·비즈니스 모델 ▲AI 윤리 등을 언급했다. 그가 말한 AI 인프라에는 AI 데이터센터, 초거대언어모델(LLM), AI 반도체 등이 포함돼 있다. AI 개인비서도 AI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로 꼽았다. 

한편 바른ICT연구소는 SK텔레콤과 연세대학교가 ICT의 선한 영향력 확산과 부작용 해결을 위해 산학협력체로 2014년 설립됐다.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융합ICT 연구소로 AI 시대에 주어진 새로운 과제와 요구되는 책임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