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추행 상병헌 징계안은 ‘부결’…욕설 김학서는 ‘가결’
개정 조례안 ‘딜’ 빌미…“상 의장, 재량비 1억 요구” 폭로
최민호 시장, 입원 치료중…“뒷거래 요구에 큰 충격”
세종시의회 위상(位象)이 말이 아니다. 추태로 얼룩진 ‘민의의 전당’ 더는 바라만 볼 수 없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시민들이 분노가 하늘을 찌르는 곳, 세종시 의회다.
‘세종시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일부개정조례안’을 둘러싼 일련의 행태가 추태의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는 비난이 들끓고 있다. 여론은 “의회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추태가 다 드러난 행태”라는 질타다.
지난 23일 열린 시의회 제81회 임시회 폐회와 집행부의 ‘출자·출연기관 일부개정조례안 미공포 결정’과 관련한 긴급브리핑.
이날 의회는 김학서 부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은 통과시켰다. 김 부의장은 본회의장에서 욕설 파문을 일으킨 것 등의 책임을 물어서다.
문제는 다음이다. 상병헌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은 부결됐다. 이 진행은 박란희 제1부의장 사회로 '회기변경의 건'을 상정해 찬성 6, 반대 11표다. 수개월을 끌어온 상 의장의 불신임안은 이렇게 부결됐다.
결국,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자당의 상병현 의장 ‘성추행’ 징계안을 부결시킨 반면, 힘에 밀린 국민의힘 김학서 부의장은 ‘욕설’로 징계했다. 더구나 상 의장은 김 부의장의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고 징계 처리안으로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성추행이 욕설보다 가볍냐”는 비아냥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
앞서 오후 3시 시 브리핑룸에서는 긴급 기자회견이 열렸다. 고기동 행정부시장과 이준배 경제부시장 등 양 부시장이 번갈아 기자 질의에 답변했다.
고 부시장은 최민호 시장의 의회 불출석과 관련해 “최 시장은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원 진료 중이어서 임시회 폐회에 참석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부시장의 폭로성 발언은 충격적이다.
이 부시장은 최 시장이 미국 출장에서 귀국한 뒤 문제의 출자 출연기관의 해결방안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의회의 거부로 무산됐다고 밝혔다. 무산된 이유 중 하나가 ‘딜’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이 부시장은 “상병헌 의장이 조례 통과나 여러 사안을 받아주는 대신 의원들의 재량사업비를 달라는 상병헌 의장의 요구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님은 이 말을 듣고 큰 충격을 받으셔서 지금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며 폭로성 발언을 이어갔다. ‘일부개정조정안’의 협상 카드가 1억 원의 뒷거래로 알려지면서 뒤숭숭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필자는 이와 관련해 최 시장의 협상으로 나선 김광운 원내대표(국민의힘)와 통화했다. 김 의원은 23일 당시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다.
당시 오후 3시 40분 상병헌 의장과 배석한 더불어민주당 여미전, 김용현 의원 등 모두 4명이 의장실에 모였다. 상 의장의 말을 시작으로 “이제 충남도도 뭐 3억 원(재량사업비)을 준다”로 이어졌다.
그러자 옆에 있던 여미전 의원이 “시장이 뭘 주셔야지 이런 것도 하죠”라고 하자 상 의장이 “그것도 맞는 소리네, 요번 추경에 1억 세워달라”고 맞받았다. 이에 김 의원은 “알아듣겠다. 그러면 시장님한테 전달하겠다”며 의장실을 나왔다고 설명했다.
필자는 이날 상 의장의 해명을 듣기 위해 전화와 메시지를 보냈으나 연락은 없었다.
이 말을 전해 들은 최 시장은 ‘충격’을 받고 이날 병가를 내고 모 병원에 입원했다. 최 시장은 “정쟁의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되며 당면한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결국, 시는 ‘출자·출연기관 일부개정조례안’과 관련 미공포로 가닥을 잡아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세종시 의회의 ‘회칠한 무덤’ 같은 추한 행태에 과연 세종시민들이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초점이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은 “세종시의회의 명예와 권위는 실추되었다”면서 “그러나 뻔뻔하게도 사과조차 하지 않았다”고 김 부의장을 향해 날을 세웠다.
앞서 국민의힘 세종시당은 성 의장의 성추행 부결과 관련“세종시의회 민주당의원들이 시의회와 세종시민들의 얼굴에 먹칠했다"며 "오늘은 세종시의회의 명예가 실추된 날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양 당이 “뻔뻔하다” 손가락질하기는 마찬가지다. 잘못은 시의회 선량(選良)들을 잘못 뽑은 시민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뻔뻔’한 이들의 결말이 어떠한지를 보여줄 때가 얼마 남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