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ELS 판매 중단·외환 부문 경쟁력 약화 ‘이중고’

[SRT(에스알 타임스) 한시은 기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ELS(주가연계증권) 상품에 대해 우리은행을 제외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4곳이 ELS 상품 판매 중지에 나섰다. 여기에 은행권의 또 다른 비이자이익 부문 중 하나인 외환 분야에서도 인터넷은행들이 파격 조건을 내세우며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어, 주요 은행들의 비이자이익 규모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5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비이자이익은 2조7,748억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KB국민은행은 6,161억원, 신한은행은 5,313억원, 하나은행은 7,186억원, 우리은행은 5,580억원, NH농협은행은 3,508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이자이익은 33조7,114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중 은행의 비이자이익의 규모는 이자이익과 비교하면 약 8% 수준이다.

은행의 순익은 크게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나뉜다. 이자이익은 예대금리차에서 벌어들이고, 비이자이익은 신탁과 방카슈랑스, 외환 환전, 카드 사업 등에서 나온다. 예대마진을 통해서 소위 '손쉽게' 벌어들이는 이자이익에 금융당국이 민감한 이유다. 때문에 은행권도 이자이익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비이자이익 규모를 높이는 것이 과제 중 하나다.

이런 가운데, 홍콩H지수 ELS 폭락 사태가 불거지며 지난달 말 주요 시중 은행은 ELS 상품 판매 중지를 결정했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은 ELS 관련 상품인 ELT(주가연계신탁)와 ELF(주가연계펀드) 등 상품 판매를 중단한다고 일제히 밝혔고, 농협은행은 작년 10월부터 원금보장형의 파생결합사채(ELB)를 제외한 모든 ELS 상품의 판매를 중단했다.

우리은행은 손실액이 미미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폭넓게 제공해야 한다는 이유를 들어 판매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의 강력한 판매 중지 요구가 있을 시에는 이에 응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이번 ELS 판매 중단으로 은행의 비이자이익을 상당 부분 담당하는 신탁 부문 실적에 타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은행은 파생상품을 직접 팔 수 없어 증권사 등이 출시한 상품을 팔고 신탁 수수료를 받아 비이자이익을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신탁 수수료가 줄어들 것을 대비해 은행은 고객 자산의 안전이 보장된 월급통장 등 저원가성 요구불예금 가입을 적극적으로 권할 것으로 관측되지만, 고객이 은행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전에는 그마저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비이자이익 가운데 한 축을 담당하는 외환 부문도 경고등이 켜졌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가 환전 등 수수료 면제를 선언하며 외환 서비스 시장의 고객 선점에 나서면서다. 이에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등은 여러 혜택을 담은 상품을 발 빠르게 내놨다. 앞으로도 시중은행은 핀테크 기업에 뒤쳐지지 않도록 파격적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으나, 체감할 만한 실효성 있는 서비스가 아니라면 고객 반응은 미미할 수 있다.

또는 혁신적인 신사업을 통한 수익다각화에 더욱 집중할 수도 있다. 신한은행의 ‘땡겨요’가 대표적인 예다. 2022년 금융권 최초로 배달앱을 출시한 신한은행은 ‘땡겨요’를 통해 시중 배달업체보다 낮은 수수료를 책정해 상생금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땡겨요의 실적은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조사업체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배달앱 점유율 4위에 오르며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은행이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내놓고 있지만 대부분 금융 편의성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금융권을 떠난 신사업을 시도해 고객을 새로 확보하는 등 의미있는 결과를 얻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도 꾸준히 비이자이익을 늘리라는 주문을 해온 상황 속에서 신탁수수료와 외환수수료가 줄어들며 실적에 영향이 갈 것으로 보인다”면서 “ELS 불완전판매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대로 비이자이익 수익 구조가 여러 측면에서 약화된다면 실적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10%도 차지하지 못하는 비이자이익이 은행 전체의 순익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 수 있겠느냐”면서 “소폭의 감소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국과 은행권 모두 ELS 판매 중단처럼 금융소비자의 선택권까지 빼앗기보다는 조금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