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SRT(에스알 타임스) 한시은 기자] 시중은행들이 디지털 전환 등의 경영효율화 명분을 내세워 영업점포를 줄여나가고 있다. 금융소외계층을 확대시킨다는 우려 속에 점포폐쇄 속도가 더뎌지긴 했지만 인건비와 임대료 등  비용절감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입장이다. 

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영업 점포수(지점+출장소)는 3,931개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4,010개보다 총 79개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은 854개에서 794개로 60곳이나 없어져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이어 농협은행이 1,119개에서 1,107개로 12곳 줄어 뒤를 이었다. 하나은행은 1곳,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3곳씩 줄었다.

점포가 없어질 경우 금융소비자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특히 고령자와 장애인 등 금융소외계층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은행들의 연이은 통·폐합은 지속되는 양상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오는 3월 11곳의 지점을 통·폐합한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일 충남도청·서울역환전센터·홍대입구역환전센터점을 통폐합했다. 신한은행도 2일 서울 구로역·가락동지점과 인천 부평지점, 경기 부천춘의지점 4곳을 인근 지점과 통폐합했다.

◆ 금융당국, 점포 폐쇄 대안 주문

지난해 4월 금융당국은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확정하며 은행권에 반대급부에서 발생할 금융소비자 피해를 막을 대안을 주문했다. 해당 방안에는 은행이 점포를 폐쇄하기 이전에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야 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당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은행은 비용효율화 측면에서 점포 수를 줄이고 있으나, 점포 폐쇄에 따라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점포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령층에게는 점포 폐쇄가 곧 금융 소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지난해 11월 “2020년 이후 600개 정도 가까운 은행 점포들이 사라졌다. 어려운 시기에 노인 등 금융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는데도 올해 상반기에만 KB국민은행은 60개 넘는 점포를 폐쇄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 은행 “경영 방향에 따른 변화”…상생금융 압박에 ‘퇴직금’은 축소

주요 시중은행들은 금융소비자 불편보다 경영 상황에 따른 전략적 점포 폐쇄라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위치가 근접한 영업점들을 통폐합하는 것이고 인력 역시 추가 배치를 하는 등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면서 “지점 축소라기보다는 대형화에 가까운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고령층 밀집지역에 시니어 특화점포를 개설하는 등 대안 점포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경영 방향이라든지, 여러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면서 “예를 들어 기업 업무를 보는 지점을 특화하기 위해서 이런 결정을 하고, 반대로 개인 업무를 보는 고객을 위한 차원도 있다”고 항변했다. 국민은행 관계자 역시 비슷한 취지로 답변했다. “협약종료에 따른 지점 폐쇄의 케이스도 있고, 다른 곳에 신설되는 점포를 통해 지점이 운영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금융소외계층 보호다. 점포 폐쇄의 경우 금융소비자를 배제한 채 철저히 각 은행의 경영셈법에 따라 이뤄진 행태라는 지적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으로 퇴직금 축소를 하고 있는데, 비용 효율화를 위한 점포 폐쇄 과정에서 금융소비자는 철저히 배제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각 은행들이 비용 효율화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을 하는 것처럼 이야기 하지만 금융당국 눈치를 보는 모습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금융당국이) 상생금융이라는 화두를 들고 나오니까 각종 2조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책을 내놓고 퇴직금을 축소하겠다고 하는데 기본적인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고민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