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구루그람 현대차 인도법인 연내 인수 완료…2025년 생산 개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가 GM인도법인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하고 급성장하는 인도 자동차 시장의 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해 인도 전동화 전환을 꾀한다.
현대차는 16일(현지시간) 인도 하리야나주 구루그람에 위치한 현대차인도법인(HMI)에서 GM인도법인(GMI)과 탈레가온 공장 자산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체결식은 김언수 현대차 인도아중동대권역장(부사장), 아시프 카트리 GMI 생산담당(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연내 인도 정부 승인 등 선결 조건이 충족되면 현대차(인도법인)가 GMI 탈레가온 공장의 특정된 대지와 설비에 대한 권리를 완전하게 취득하게 된다. 단, 양사는 상호간 협의로 인수 금액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현대차가 GMI의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한 배경에는 급성장 중인 인도 자동차 시장이 있다. 현대차는 인도 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강화하고 빠르게 진행될 인도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생산능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인구를 보유한 인도는 지난해 476만대의 신차가 판매됐다. 이는 중국(2,320만대), 미국(1,420만대)에 이어 세계 3위 판매량을 가진 시장이다. 이중 승용차 시장은 380만대 규모로 2030년에는 5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브라질 등 세계 주요국의 자동차 시장 규모가 5년 전보다도 줄어든 상황에서 지난해 인도 자동차 신차 판매량는 5년 전인 2017년 대비 18.5%나 증가했다.
최근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캠페인을 펼치고 전기차 보급 확대와 자국 내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에서 총 55만2,511대를 판매해 14.5%의 점유율로 마루티에 이어 판매량 2위에 올랐다. 지난달까지 34만 6,711대를 판매한 현대차는 14.6%의 점유율로 2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가 이번에 인수한 탈레가온 공장은 기존 연간 13만대 수준의 완성차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는 연내 인도 정부의 승인 등 선결 조건이 달성되면 취득 절차 완료 후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공장 인수로 추가적인 생산능력을 확보해 수요가 높은 핵심 차종의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다양한 차종을 빠르게 투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양산 돌입 이후에는 단계적으로 설비 개선을 통해 탈레가온 공장의 생산능력을 추가적으로 확대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는 올해 상반기 라인 개선을 통해 첸나이 공장 생산능력을 75만대에서 82만대로 끌어올렸다. 이번 인수와 추가 확대 계획을 고려하면 기존 공장을 포함한 현대차의 인도 내 총 생산능력은 최대 100만대 수준에 도달한다.
2030년에는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현대차는 기존 첸나이 공장의 여유 생산 능력을 신규 전기차 생산 라인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김언수 현대차 인도아중동대권역장(부사장)은 탈레가온 공장 인수 계약에 서명한 뒤 “올해는 현대차의 27년 인도 진출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2025년 탈레가온 공장 본격 가동을 시작으로 인도 자동차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최첨단 제조 허브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