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오존 농도는 환경기준에 ‘미흡’

[SR타임스 이행종 기자] 지난해 전국 7개 주요도시 대기오염 상태를 점검한 결과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의 대기오염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미세먼지, 서울·경기·인천 상대적으로 높아
 
오염 물질별로는 미세먼지(PM 10)와 오존(O₃)의 농도가 환경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국립환경원이 발표한 ‘2014년 대기환경연보’에 따르면 중·소 사업장 등 각종 배출원이 위치한 경기도와 도심지내 항만·공업단지 등으로 인해 대형화물차의 이동이 많은 인천이 미세먼지(PM 10)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도권은 다른 지역에 비해 미세먼지, 이산화질소(NO₂)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당 조사는 심혈관계 질환이 없던 사람이 관련 질병을 얻어 입원하는 과정을 수년 간 추적 조사해 분석한 국내 연구 결과다.
 
▲ ⓒwikipedia
 
지역별로 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다른 지역에 비해 미세먼지, 이산화질소(NO₂)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산화질소 농도는 서울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인천 등이 뒤를 이었다. 이산화질소 기준치는 0.03ppm이다. 이산화질소는 주로 경유 자동차에서 배출되며, 눈과 호흡기를 자극해 기침, 두통, 구토를 유발한다.
 
오존 농도는 증가 추세로 특히 수도권, 전남, 경남에서 자주 발생했다. 경남의 경우 오존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오존은 반복 노출되면 폐와 호흡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자동차, 화학 공정, 석유정제 과정 등에서 배출된다.
 
오존주의보 발령일수는 서울과 전남, 그리고 경남이 8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천 7일, 경기 16일, 부산 6일, 울산 5일, 대구 3일 등의 순이었다.
 
유해대기오염물질 중 환경기준이 설정된 납과 벤젠은 환경기준치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납의 경우 지난해 전국 평균 농도는 0.0304㎍/㎥로 모든 측정소(54개소)에서 환경기준 0.5㎍/㎥을 넘지 않았다.
 
벤젠은 지난해 전국 평균 농도는 1.5㎍/㎥로, 울산 여천동을 제외한 모든 측정소(30개소)가 환경기준 5㎍/㎥ 안에 들었다. 5㎍/㎥는 일상적인 미세먼지 농도 변화 수준을 말한다.
 
지난해 강우산성도 pH는 5.1로 전년 5.0보다 다소 완화된 산성을 보였다. 전국에서는 강원 양구 방산면이 pH 4.6으로 가장 강한 산성도를 나타냈다.
 
◇ 미세먼지 농도 높으면 사망자 수도 증가
 
미세먼지(PM 10) 농도는 2013년과 동일한 49㎍/㎥로 연간 환경기준 50㎍/㎥을 달성했지만 2012년 45㎍/㎥을 저점으로 약간 증가했다.
 
2012년 이후 황사 등 국외 유입량이 늘고 대기정체에 의한 기상여건이 악화되면서 파리 22㎍/㎥, 런던 20㎍/㎥, 로스엔젤레스(LA) 30㎍/㎥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와 인천 지역으로 각각 54㎛/㎥, 49㎛/㎥를 나타냈다. 미세먼지는 장기간 흡입하면 천식이나 폐질환의 유병률·조기사망률을 높인다.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질수록 사망률도 그 만큼 상승한다.
 
미세먼지는 비염·기관지염·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은 물론, 아토피 피부염과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위험 물질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청구 자료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10년 서울에 거주한 사람 가운데 2002∼2004년에는 질환이 없다가 2005∼2010년 새롭게 발생한 심혈관계 입원 환자 5만 7,626명을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들이 심혈관계 질환을 얻기 전 3년 간 서울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우리나라 미세먼지 기준치인 연평균 50㎍/㎥ 보다 다소 높은 57㎍/㎥를 기록했다. 농도가 5㎍/㎥ 짙어졌을 때 심혈관계 질환 입원자는 10% 정도 늘어났다.
 
해당 조사는 심혈관계 질환이 없던 사람이 관련 질병을 얻어 입원하는 과정을 수년 간 추적 조사해 분석한 국내 연구 결과다.
 
또 연구원이 서울과 부산 등 전국 7대 도시의 25세 이상 환자 5,4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 관상동맥이 막히는 질환인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가 사망할 위험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등 외부요인 30~50%···자동차 배기가스도 관리 대상
 
이처럼 미세먼지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대책 마련이 제시됐다.
 
우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지구의 사막화를 막고, 중국의 매연 배출을 방지하는 것을 우선으로 꼽았다. 중국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자 수가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보다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도 이 같은 주장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 지난 2013년 베이징 등 중국 주요 도시 31곳에서 스모그 주범으로 불리는 대기 오염물질 PM 2.5(지름 2.5㎛ 이하 초미세먼지)로 인해 25만 7,000명이 조기 사망했다는 국제 환경 단체 그린피스와 베이징대 연구진의 보고서 발표가 있었다.
 
이는 사망자 10만 명당 90명에 해당하는 수치로, 2012년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비율인 10만 명당 70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서울시도 지난 15일 초미세 먼지를 저감할 과감한 대책 마련을 위해 ‘2015 서울 대기질 개선 포럼’을 열었다. 동종인 맑은하늘만들기시민운동본부 위원장(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은 이 자리에서 “대기오염 현상으로 각종 질환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수도권(서울ㆍ인천ㆍ경기) 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와 초미세 먼지(PM 2.5) 농도, 오존 농도 등이 미국 뉴욕ㆍ일본 도쿄 등 주요 선진도시에 비해 현격히 높게 나타난 것이 이유다.
 
이에 동 위원장은 “대기오염의 피해자이며 원인제공자인 시민은 물론 기업에서 대기개선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며 “특히 대기오염에 서로 영향을 주고 있는 동북아 지역 국가, 또 국내 지역간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해야 한다”고 문제 해결을 제시했다.
 
또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디젤 나노먼지, 비산 먼지 등도 관리대상에 포함시켜 대기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물론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경로는 중국 등 외부요인이 30~50%로 추정된다. 하지만 동 위언장은 서울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하면서 서울시 대기오염 배출의 57.5%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집중 관리할 필요성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