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한 한화시스템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가상도. ⓒ한화시스템
▲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한 한화시스템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가상도.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우주 밸류체인 구축…우주항공청 설치 등은 과제로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민간 기업 주도로 우주항공 산업이 이뤄지는 '한국형 뉴스페이스'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국가 우주항공 분야 컨트롤타워가 될 '우주항공청' 설립 지지부진 등으로 민간 주도 우주산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분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민간 기업 중 우주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곳은 한화그룹이다. 최근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을 필두로 우주 사업 밸류체인 구축에 나서고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 2021년 우주산업 협의체 ‘한화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하며 우주 사업을 차기 성장동력으로 키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 스페이스 허브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팀장을 맡고 있으며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4일 한화시스템은 자체 개발·제작한 ‘소형 SAR 위성’을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오후 2시 정각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그간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위성 제조·발사 분야를 국내 기술력으로 이뤄낸 것이다. 민간주도의 상용 지구관측 위성이 자체 발사됐다는 것도 성과다.

앞서 한화시스템은 지난 7월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 민간 우주산업 육성 업무협약’을 맺고 제주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성개발·제조시설인 ‘한화우주센터’를 내년 중 착공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한화우주센터 건립을 통해 우주 산업 확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2025년 하반기 누리호 4차 발사에 체계 종합 기업으로 참여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세차례 발사할 예정이다.

이처럼 한화그룹이 '한국판 스페이스X'를 꿈꾸며 우주산업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판 NASA(미국 항공우주국)’ 역할을 할 우주항공청 설치는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우주항공 관련 단체 등에서 신속한 국회 처리를 요청하고 있지만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법안을 상정하지 못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의 이관을 법제화하는 문구를 놓고 여야간 이견이 커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이다.

야당이 문제 삼은 것은 특별법 부칙으로 포함된 ‘항우연과 천문연의 우주항공청 이관을 추진한다’라는 문구에서 ‘추진한다’라는 문구가 두 기관의 우주항공청 편입을 보장할 수 없고, 항우연 등과의 업무 중복으로 비효율이 우려되며 그간 축적된 연구 역량이 훼손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주도 우주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우주항공청 설립이 신속히 이뤄져야 해당 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KAI, 한화, 대한항공 같은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 진입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최대한 안정적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