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올 3분기에 국내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시총)이 200조원 가까이 감소했고, 주식종목 10곳 중 7곳꼴로 주가 하락 등으로 시총 외형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도 2분기 때인 6월 말에는 270곳을 넘겼지만, 지난 9월 말에는 260곳 미만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식 종목 중에서는 ‘보로노이’가 유일하게 시총 증가율 100%를 상회했고,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0조 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또 메리츠금융지주와 알테오젠은 올 3분기에 시총 TOP 20에 처음으로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은 우선주를 제외한 2720곳이고, 올해 6월 말(28일)과 9월 말(30일) 종가 기준 시총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상장된 27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올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시총이 감소한 곳은 70.7%(1924곳)나 차지했다. 반대로 시총이 증가한 곳은 24.9%(678곳)에 그쳤다. 118곳(4.3%)은 신규 상장되거나 시총에 변동이 없었다.
지난 9월 말 기준 2720곳의 시총 규모는 2,432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말 파악된 2621조원과 비교하면 최근 3개월 새 시총 덩치는 189조원 하락했다. 시총 하락률도 7.2% 수준을 보였다. 여기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이닉스, 기아, 현대차 등 국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대장주들이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0조 원 넘게 감소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9월 말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도 3개월 전보다 줄었다. 지난 6월 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은 273곳이었는데, 9월 말에는 259곳으로 적어졌다. 3개월 새 14곳이나 시총 1클럽에서 탈락한 것. 이는 3월 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263곳보다도 적은 숫자다.
올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3분기에 시총 외형이 1조 원 넘게 증가한 종목은 21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6월 말 76조4,010억원이던 시총이 9월 말에는 96조 9,930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20조5,920억원 이상 시총 덩치가 커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같은 기간 51조7,434억원에서 69조5,369억원으로 3개월 새 17조7,935억원 넘게 불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 3분기 시총 상승률은 각각 27%, 34.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유한양행(4조9,488억원↑) ▲셀트리온(4조5,840억원↑) ▲신한지주(3조7,440억원↑) ▲HLB(3조5,831억원↑) ▲고려아연(3조5,816억원↑) ▲메리츠금융지주(3조4,329억원↑) ▲에코프로머티(3조391억원↑) 종목 순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 증가액이 3조 원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삼성전자는 지난 6월 말 486조5,372억원에서 9월 말에는 367조1,416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120조 원 가까이 시총 외형이 크게 쪼그라졌다. 이외 시총이 1조원 넘게 내려앉은 곳은 23곳 더 있었다. 이 중에서도 ▲SK하이닉스(45조633억원↓) ▲기아(11조7,558억원↓) ▲현대차(10조6,802억원↓) 종목의 시총은 올 3분기에만 시총이 10조 원 넘게 떨어졌다.
◆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시총 46위서 27위로 변동
최근 3개월 새 시총 TOP 100에 오른 곳의 순위도 요동쳤다. 100곳 중 91곳은 6월 말 때와 달리 9월 말에 시총 순위가 달라졌다.
최근 경영권 분쟁의 중심에 서 있는 고려아연은 올해 3월 말과 6월 말 때는 각각 47위, 46위로 40위권대를 보여오다 지난 9월 말에는 27위로 20위권대로 진입하며 주목을 끌었다.
올 3분기 시총 상위 TOP 20 판세도 요동쳤다. 상위 20곳 중 6월 말 대비 6월 말에 시총 순위 변동이 없는 곳은 8곳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삼성전자(1위) ▲SK하이닉스(2위) ▲LG에너지솔루션(3위) ▲KB금융(8위) ▲POSCO홀딩스(9위) ▲LG화학(13위) ▲현대모비스(15위) ▲포스코퓨처엠(16위) 종목이 포함됐다.
6월 말 대비 9월 말에 시총 TOP 20에 신규 가입한 종목 중에는 ▲삼성생명(22위→17위) ▲메리츠금융지주(6월 말 24위→9월 말 18위) ▲알테오젠(25위→20위) 세 곳이 포함됐다. 이중 메리츠금융지주와 알테오젠은 올해 분기별 시총 TOP 20에서 3분기에 들어오면서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와 달리 삼성화재(6월 말 17위→9월 말 25위)와 LG전자(18위→21위)는 지난 9월 말 기준 시총 20위에서 밀려났다. 카카오도 6월 말에는 시총 19위였는데, 9월 말에는 26위로 7계단이나 뒷걸음을 쳤다. 특히 카카오는 올해 초 시총 순위 14위로 2분기 때까지는 시총 10위권대 자리를 지켜오다 3분기에는 20위권대로 밀려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9월 말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 259개 주식종목 중 6월 말 대비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제약 관련 코스닥 업체인 ‘보로노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종목의 6월 말 대비 9월 말 시총 상승률만 해도 102.1%로 3개월 새 퀀텀점프했다.
시총 1조 클럽 중 올 3분기에 시총 증가율이 50~100% 사이를 보인 곳은 2곳 더 있었다. 여기에는 유한양행(76.3%↑)과 대웅(52.6%↑) 주식종목이 포함됐다. 유한양행은 지난 6월 말 6조4,889억원에서 9월 말에는 11조 4378억 원으로 상승했고, 같은 기간 대웅 역시 8,953억원에서 1조3,663억 원으로 시총 외형이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 3분기 국내 시총 외형은 지난 1분기와 2분기 때보다 더 하락해 최근 3개월 새 국내 주식시장은 전체적으로 먹구름으로 가득했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제약·바이오를 비롯해 금융과 조선 관련 업종의 주식종목은 시총이 오른 곳이 많아 다소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올해 3분기 그룹 총수 46명 주식재산 2.3조↓…서정진 회장 1조↑
- 삼성전자 40대 이상 직원 20대 앞질러...세 명 중 한 명 간부급
- 비(非)오너 27명 주식재산 100억 넘어…크래프톤서 주식부자 1~2위
- 70년 이후 출생 ‘회장’ 30명 초과…MZ 오너 임원 100명 돌파
- 올해 2분기 시총 10곳 중 6곳 하락…LG엔솔 감소폭 가장 커
- 재계 그룹 해외법인 6000곳…한화·SK 늘리고 삼성 감소세
-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기대 못미친 성과 송구…위기극복 앞장설 것"
- 카카오, 동영상 사업 재편 중…숏폼 콘텐츠로 전환 ‘가속’
- 삼성전자, 13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 성과
- LG전자, B2B 사업 가속…2030년 10조 매출 정조준
- 가평 ‘자라섬 수자인 리버페스타’ 11일 견본주택 개관
- 카카오, 다음글로벌홀딩스 흡수합병…"기업가치 제고"
- 카카오, ‘2024 카카오비즈니스 베스트 어워즈’ 개최
- SK하이닉스, 3분기 메모리 시장서 삼성 추월하나
- 조정호 메리츠금융 회장, 이재용·서정진 이어 주식재산 10조↑
- 현대차 20대 젊은피 늘고…SK하이닉스 50대 베테랑 증가
- 메리츠금융지주, 한국ESG기준원 평가 모든 부문 A등급 획득
- KB금융, 책무구조도 제출 ‘시범운영’
- “100대 기업 임원 승진 확률 0.84%…대형은행 하늘 별따기”
- 100대 기업 女임원, 꾸준히 증가…삼성전자 81명 최다
- 올해 삼성전자 1970년생 임원 최다…신규 임원 평균 나이 49세
- 내년 뱀의 해, 뱀띠 CEO 110명…100억 초과 주식부자 86명
- 메리츠금융 “홈플러스 담보가치만 5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