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올해 활약하고 있는 삼성전자 임원은 1,160명이 넘는 가운데 1970년에서 1974년 사이 출생자가 절반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단일 출생년도 중에서는 올해 54세인 1970년생이 최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작년 대비 올해 기준 삼성전자 신규 임원의 평균 나이는 49.1세이고, 퇴직한 임원은 평균 56.2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2024년 2개년 삼성전자 임원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및 2024년 3분기 정기보고서에 명시된 임원 현황을 일일이 대조해 조사 및 분석이 이뤄졌다. 참고로 2023년 작년에 명단이 있었는데, 2024년 올해 빠져있으면 퇴임, 반대로 작년에는 이름이 없었다 올해 포함되면 신규 임원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올해 파악된 삼성전자 임원은 1166명이었다. 이는 작년보다 10명 많아진 숫자다. 작년 기준 삼성전자 전체 임원의 평균 나이는 51.9세였고, 올해는 52.1세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1160명이 넘는 올해 삼성전자 임원을 2년 단위별 출생년도로 살펴보면 1970년~1971년 출생자가 20.9%(244명)로 최다였다. 이어 1972년~1973년생도 20.7%(241명)로 20%를 넘어섰다. 다음으로 1974~1975년생은 15.9%(185명)로 높았다. 이외 ▲1968~1969년생 14.4%(168명) ▲1976~1977년생 10.1%(118명)로 10%를 상회했다. 1980년 이후 태어난 MZ세대 임원은 3.7%(37명) 수준을 보였다. 1980년대 생이 많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전체적인 MZ세대 비중은 5%를 넘기지는 못한 상태다.
전체적으로 보면 1970~1975년 사이 출생한 임원 숫자만 해도 57.5%(670명)로 60%에 근접했다. 삼성전자를 움직이는 임원 10명 중 6명 정도는 올해 나이 기준 50~54세인 셈이다.
단일 출생년도 중에서는 올해 54세인 1970년생 임원이 127명(10.9%)으로 최다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 뒤를 이어 1972년생이 123명(10.5%)으로 바짝 뒤쫓고 있는 모양새다. 1973년생과 1974년생은 각각 118명(10.1%)로 많았고, 1971년생은 117명(10%)으로 파악됐다.
50~100명 미만인 출생년도 중에서는 ▲1969년 91명(7.8%) ▲1968년 77명(6.6%) ▲1976년 68명(5.8%) ▲1975년 67명(5.7%) 순으로 많았다.
특히 올해 활동하고 있는 삼성전자 임원 중 66.9%에 해당하는 780명은 상무(常務) 타이틀을 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사장(副社長)은 31%(361명)로 10명 중 3명 정도였고, 사장(社長)·부회장(副會長)·회장(會長)은 25명(2.1%)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회장은 이재용 회장이 유일했고, 부회장은 정현호(60년 3월생)·전영현(60년 12월생)·한종희(62년생) 부회장 이렇게 3명이었다.
삼성전자 전체 직원 중 임원으로 오를 확률은 0.9% 수준이다. 산술적으로 직원 110.3명 중 1명 정도만 기업의 꽃인 별)을 다는 수준이다. 그렇게 어렵게 상무라는 임원 자리에 오르더라도 부사장으로 승진하려면, 평균 2.2대 1의 경쟁률을 다시 뚫어야 한다. 다시 부사장에서 사장이라는 더 높은 자리에 앉으려면 평균 17.2대 1 수준의 장벽을 더 뛰어넘어서야 가능하다.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오를 수 있는 산술적인 확률은 5.8%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삼성전자 임원 중 부사장(副社長)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같은 임원 중에서도 일종의 허리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성과(Performance)를 보여주는지에 따라 삼성전자의 경쟁력도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에서 올해 부사장 타이틀을 달고 있는 361명 중 여성은 16명(4.4%)에 불과했고, 95.6%에 해당하는 345명은 남성이었다. 올해 파악된 부사장단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1968~1969년 출생자와 1970~1971년생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출생년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생이 57명(15.8%)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최근 1년 새 퇴임한 임원 120여 명을 살펴보면 1960년대 후반 출생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올해 56세인 1968년생이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1967년생과 1969년생도 각각 13명이나 삼성전자를 떠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1971년(12명) ▲1965년·1972년(각 11명) ▲1966년(10명) 순으로 10명 이상됐다.
이러한 흐름만 놓고 보면 올 연말 단행되는 2025년 임원 인사에서 6말7초에 해당하는1968~1971년 중에서 회사 문을 떠나는 이들이 다수 생길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올해 임원이 가장 많은 1970년생의 퇴장이 눈에 띄게 많아질 수 있다고 CXO연구소 측은 예상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삼성전자에서 임원으로 올라서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만큼 힘들지만, 상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하는 것은 그야말로 경쟁력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며 “최근 삼성전자에 감도는 위기를 정면 돌파하려면 부사장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기이기 때문에 누가 상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하는 지가 2025년 인사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오 소장은 “외부 영입 인재와 여성, MZ세대가 많아질 수 있는 것도 2025년 삼성전자 임원 인사의 특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100대 기업 임원 승진 확률 0.84%…대형은행 하늘 별따기”
- 현대차 20대 젊은피 늘고…SK하이닉스 50대 베테랑 증가
- 조정호 메리츠금융 회장, 이재용·서정진 이어 주식재산 10조↑
- 올 3분기 시총 189조 감소…기업 10곳 중 7곳 주가 하락
- 올해 3분기 그룹 총수 46명 주식재산 2.3조↓…서정진 회장 1조↑
- 삼성전자 40대 이상 직원 20대 앞질러...세 명 중 한 명 간부급
- 비(非)오너 27명 주식재산 100억 넘어…크래프톤서 주식부자 1~2위
- 70년 이후 출생 ‘회장’ 30명 초과…MZ 오너 임원 100명 돌파
- 삼성전자, 'AI 구독클럽' 서비스 시작…LG전자와 경쟁 예상
- 내년 뱀의 해, 뱀띠 CEO 110명…100억 초과 주식부자 86명
- 트럼프 ‘관세폭탄’에 국내 기업도 긴장…캐나다·멕시코 법인 200곳↑
-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 신규상장으로 1조 주식갑부 등극
- 삼성전자, 작년 직원 평균 연봉 약 1억 2800만원…인건비 비율↓
- 조정호 회장, 주식부자 2위 등극…이재용 보유액 94%로 근접
- 삼성전자, 대기업 중 女직원 비중 최다…여성 연봉킹 에쓰오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