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제조사와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실내외 상용 환경 실증 성공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SK텔레콤(SKT)은 글로벌 장비 제조사 삼성전자, 에릭슨(Ericsson), 노키아(Nokia) 등과 협력해 이동통신망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SKT는 이번 실증을 통해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가상화 기지국 대비 서비스 품질, 용량, 전력 효율 등 핵심 성능의 개선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증, 확인했다.
특히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제조사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실제 실내외 환경에서 모두 실증한 것은 국내 이동통신사 중 자사가 첫 사례라고 SKT는 강조했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구현이 가능해,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Network AI)’ 실현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과거 기지국 전용 하드웨어에 동일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되어야 했던 구조보다 개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SKT는 이번에 가상화 기지국의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실증에 활용했다.
또한 SKT는 개방형 프론트홀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 에치에프알(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 표준에 따라 연동하고, 이를 실제 실내 사무공간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는데도 성공했다.
프론트홀은 기지국 중앙 장치(Digital Unit)와 분산된 무선 장치(Radio Unit)를 연결하는 망이다.
SKT는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네트워크 AI(Network AI)’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SKT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 SK텔레콤, AI 기반 설문 결과 제공 서비스 개시
- 3G 이동통신 서비스 조기 종료 '글쎄'
- SKT-경찰청, 휴대폰 악성앱 2610건 발견 및 차단
- SKT·SK텔링크, ‘기내 Wi-fi 자동 로밍’ 세계 최초 출시
- 통신 3사, 광복 80주년 맞아 ‘V컬러링’ 기부 캠페인 진행
- 수도권만 수십 개…데이터센터, 허들은 무엇인가
- 이통3사 1Q 영업익 1.5조 돌파 전망…KT 견인할 듯
- SKT, AI 스타트업 발굴 나서… 사업 협력과 투자 등 지원
- 창립 72주년 맞는 SK그룹, 최종건 회장 추모행사 비공개 개최
- S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금융사 및 에이닷에 적용
- SKT, T 멤버십 혜택 강화…SPC와 신규 제휴
- SKT, 민간 데이터 결합 ‘그랜데이터’ 본격 확장 나서
- SK텔레콤, 연내 멀티모달·추론형 AI 모델 개발 계획 발표
- SKT, 원자재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와 MOU 체결
- SK텔레콤, ‘에이닷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출시
- 삼성 ‘비스포크 AI 콤보’, 판매처 확대
- SKT, 장기 우수 고객 대상 ‘숲캉스’ 시행
- SK텔레콤, 녹색생활 실천 돕는 ‘에코레터’ 도입
- SKT, 악성코드로 고객 정보 유출…‘LG유플’ 발생 2년만
- SK텔레콤, 미래 성장 위한 판교 사옥 매각 검토
-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세요”…T월드로 무료 가입
- SKT, 월드IT쇼서 AI가 혁신한 공장·오피스·홈 총망라
- SK텔레콤, 오전 10시부터 유심 무료 교체 개시
- KISA,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신고 시간' 혼선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