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기반 설문 서비스 ‘SKT AI 서베이’… 분석 정보 등 홈페이지 통해 공개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SK텔레콤(SKT)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설문 조사 결과와 그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SKT AI 서베이’ 서비스를 전용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SKT AI서베이는 SKT의 AI·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설문 조사 서비스다. 해당 서비스는 크게 설문 응답자와 의뢰자 영역으로 구분된다.
우선 SKT 고객(설문 응답자)은 T멤버십 앱의 ‘미션’ 탭에 들어가 정기적으로 올라오는 다양한 주제의 설문에 응하고, T플러스포인트를 지급받는다. 적립한 T플러스포인트는 여러 T멤버십 제휴처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설문은 SKT가 자체 제작하거나, 기업과 연구기관·소상공인 등 외부 설문 의뢰를 받아 설계한다. 문항 작성과 응답 수집, 결과 분석까지 전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특히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일반 조사 뿐만 아니라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설문 조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방문한 고객, 게임·여행·패션·투자 등 특정 영역에 관심이 많은 고객군을 타깃으로 SKT의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교한 설문을 할 수 있다.
SKT는 실시한 다양한 설문 가운데, 흥미성이 높거나 유의미한 정보를 주는 조사 위주로 SKT AI 서베이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단순 설문 결과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AI가 분석한 시사점 등도 함께 제공된다.
작년 12월 진행된 ‘산불 예방 국민 인식 조사’가 대표적이다. 사계절 중 산불 위험이 봄철에 집중됨에도 설문 응답자의 24%만이 위험 계절로 ‘봄’을 택했고, 가을(39%)과 겨울(31%)을 답한 비중이 더 높았다. 즉, 산불 위험에 대한 기본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고 SKT는 설명했다.
설문을 통해 도출된 분석 정보는 AI 기술을 통해 자동 생성된다.
SKT 관계자는 “향후 AI 분석과 정보 생성에 있어 SKT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 SK텔레콤 AI 인텔리전스 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보다 확장된 영역에서 AI 인텔리전스 정보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SKT-경찰청, 휴대폰 악성앱 2610건 발견 및 차단
- KT엠모바일만 웃었다…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 실적 ‘희비’
- SKT·SK텔링크, ‘기내 Wi-fi 자동 로밍’ 세계 최초 출시
- 통신 3사, 광복 80주년 맞아 ‘V컬러링’ 기부 캠페인 진행
- 이통3사 1Q 영업익 1.5조 돌파 전망…KT 견인할 듯
- SKT, AI 스타트업 발굴 나서… 사업 협력과 투자 등 지원
- S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금융사 및 에이닷에 적용
- SKT, T 멤버십 혜택 강화…SPC와 신규 제휴
- SKT, 민간 데이터 결합 ‘그랜데이터’ 본격 확장 나서
- SK텔레콤, 연내 멀티모달·추론형 AI 모델 개발 계획 발표
- SKT, 원자재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와 MOU 체결
- kt 밀리의서재, SKT와 제휴…‘T 우주’에 서비스 제공
- SK텔레콤, ‘에이닷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출시
- 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 AI’ 구현 앞장
- SKT, 장기 우수 고객 대상 ‘숲캉스’ 시행
- SK텔레콤, 녹색생활 실천 돕는 ‘에코레터’ 도입
- SKT, 악성코드로 고객 정보 유출…‘LG유플’ 발생 2년만
- SK텔레콤, 미래 성장 위한 판교 사옥 매각 검토
-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세요”…T월드로 무료 가입
- SKT, 월드IT쇼서 AI가 혁신한 공장·오피스·홈 총망라
- SK텔레콤, 오전 10시부터 유심 무료 교체 개시
- KISA,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신고 시간' 혼선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