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내 인트라넷 통해 AI 피라미드 전략 2.0 등 사업 전략 공유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4일 멀티모달 인공지능(이하 AI) 모델, 추론형 AI 모델을 연내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멀티모달’은 다양한 부품을 모아 컴퓨터를 조립하듯 AI를 더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조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유 대표는 이날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SK텔레콤의 르네상스를 위하여'라는 글을 통해 AI 피라미드 전략 2.0 등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AI 피라미드 2.0 전략은 SK텔레콤이 '돈 버는 AI' 성과를 본격화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피라미드를 AI 수요자와 공급자 관점으로 구분한다.
유 대표는 "글로벌 통신사들은 대부분 네트워크에 AI를 도입해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수요자로서의 AI'에 관심이 많다"면서 "지금은 문제를 풀기 위해 임시적으로 수요자 관점과 AI를 통한 신성장을 노리는 '공급자로서의 AI'를 인수분해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둘을 융합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사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할 영역으로 '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분야를 꼽았다.
유 대표는 "람다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GPUaaS는 작년 12월 가산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빠른 매출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DC)가 빨리 필요한 수요자를 위한 '모듈러 DC', 보안을 목적으로 하나의 수요자에 최적화된 DC, 초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등 맞춤형 상품을 내놓겠다고 했다.
그는 미국 출시를 준비 중인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의 베타 서비스 출시와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이하 LLM) 에이닷엑스(A.X) 4.0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에이닷엑스 4.0이 글로벌 주요 LLM에 못지않은 성능을 가지면서도 효율이 높은 한국어 특화 LLM으로 개발되고 있다며, 연내 멀티모달 AI 모델, 추론 모델 개발 계획도 밝혔다.
그는 "앞으로 더 치열하고 단단하며 유연한 SK텔레콤만의 문화와 일하는 방식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성과를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SKT, 원자재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와 MOU 체결
- SK텔레콤, ‘에이닷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출시
- 이통3사 직원들 1년만에 3000명 짐쌌다
- SK텔레콤, 3기 스포츠 꿈나무 후원식 개최…중고생 30명 선발
- SKT, ESG 전 영역에 AI 도입
- 유영상 SKT CEO ““AI피라미드 2.0·운영 효율화로 성과 창출”
- SK브로드밴드,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 첫 수주
- 이통3사, 미디어 사업 전략 재편 ‘온도차’
- SKT, 대표·임직원 연봉 모두 이통3사 중 ‘최고’
- SKT, 美 AI 스타트업 ‘투게더AI’와 협력
- SK텔레콤, 지난해 해외 사업장 늘어
- SKT, 에이닷에 구글 LLM ‘제미나이’ 추가
- 이통3사, 법조인 사외이사 모시기 ‘사활’
- SKT, T 멤버십 혜택 강화…SPC와 신규 제휴
- S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금융사 및 에이닷에 적용
- SK텔레콤, AI 기반 설문 결과 제공 서비스 개시
- 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 AI’ 구현 앞장
- SKT, 장기 우수 고객 대상 ‘숲캉스’ 시행
- SK텔레콤, LLM 에이닷 엑스 4.0 오픈소스로 공개
- SK텔레콤, 자체 LLM 에이닷엑스로 ‘국가대표 AI’ 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