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게더 AI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활용…추론속도 및 비용 효율화 시너지 창출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은 글로벌 인공지능(이하 AI) 최적화 전문 스타트업인 ‘투게더AI’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고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24일 밝혔다.
투게더 AI는 AI 클라우드 및 오픈소스 전문 기업으로 202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설립됐으며, 최근 3억500만 달러(약 4,4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투게더AI는 AI 오픈소스를 활용한 추론과 미세조정(파인튜닝), 엔비디아와의 협력에 기반한 저비용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 구축 등을 주요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또 AI 효율화 분야의 혁신적 알고리즘인 ‘플래시어텐션’ 개발로 유명한 주요 연구진들이 참여해 줌, 워싱턴포스트, 세일즈포스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한 50만 고객을 두고 있다.
◆ 양사, AI 모델·플랫폼 협력부터 AI DC까지 AI 기술력 고도화 방안 다각도 모색
SKT는 북미 시장 진출을 앞둔 글로벌 개인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 거대언어모델(LLM), GPU 효율화와 관련해 투게더AI와 협력을 모색한다. 이는 투게더AI가 AI 모델 학습 및 파인튜닝 역량과 컴퓨팅 리소스 효율화 기술 구현 역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SKT는 자체 LLM인 에이닷엑스(A.X), AI 데이터센터(DC) 등 AI 영역 전반에서 추가 사업협력 아이템 및 시너지 창출기회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투게더 AI 가 보유한 GPU 연산 효율화 기술 ‘투게더 커널 콜렉션’과 모델 압축 양자화 기술 ‘큐팁’을 활용하면 AI 모델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초기 GPU 투자비와 운영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양사는 투게더 AI의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모델, AI 플랫폼부터 AI DC까지 SKT의 AI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방면의 AI 영역에서 힘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풀 베드 프라카시(Vipul Ved Prakash) 투게더 AI 공동창업자 겸 CEO는 “AI는 기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혁신 가능성을 열어 모든 산업을 재편하고 있다”며 “SKT와의 협업은 투게더AI에도 중요한 파트너십이며 SKT의 새로운 개인 AI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데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신 SKT AI성장전략본부장은 “SKT는 이번 협업을 통해 AI 플랫폼 기술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AI 고객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AI 스타트업 투자 및 협력으로 ‘SKT만의 AI 사용법’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방통위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서 SKT '매우 우수'…LG U+와 KT '우수'
- SK텔레콤, 지난해 해외 사업장 늘어
- SKT, 에이닷에 구글 LLM ‘제미나이’ 추가
- 이통3사, 법조인 사외이사 모시기 ‘사활’
- 이통3사 번호이동 가입자 조정 담합 제재…과징금 1440억원
- 이통 3사, 용인세브란스병원에 패스 QR 본인인증 도입
- SKT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 170개로 확대
- 유영상 SKT CEO ““AI피라미드 2.0·운영 효율화로 성과 창출”
- SKT, ESG 전 영역에 AI 도입
- SK텔레콤, 3기 스포츠 꿈나무 후원식 개최…중고생 30명 선발
- SK텔레콤, ‘에이닷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출시
- SKT, 원자재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와 MOU 체결
- SK텔레콤, 연내 멀티모달·추론형 AI 모델 개발 계획 발표
- SKT, T 멤버십 혜택 강화…SPC와 신규 제휴
- S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금융사 및 에이닷에 적용
- SKT, 서울 본사서 美 아이온큐와 양자 사업 협력 논의
- SK텔레콤, LLM 에이닷 엑스 4.0 오픈소스로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