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GSMA 주관 ‘AI 윤리’ 세션에 국내 사업자 대표로 참여
SKT 해외 기업과 AI 정책 논의…LG U+ "안심 사용에 집중"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국내 통신사들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 행사에서 윤리적인 AI 구현 방안을 위해 해외 기관 및 사업자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대표이사 김영섭)는 국내 사업자 대표로 인공지능(AI) 윤리와 통신 산업의 AI 도입, 포용적 디지털 서비스를 주제로 한 주요 세션에 연속으로 참여했다.
KT AI 퓨처 랩장 배순민 상무(CRAIO)는 지난 4일 오전 10시(현지시간)에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25 행사장에서 열린 ‘윤리적 인공지능 구축(Building Ethical Intelligence)’ 세션에 패널로 참여했다. 이 세션은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내 글로벌 통신사들의 핵심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술이 일상 생활에 깊이 녹아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통신 사업자들의 윤리적인 AI 구현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공정성과 인간 주체성, 프라이버시, 보안, 투명성 등의 책임 있는 AI 도입을 위한 핵심 원칙들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같은 날 오후 배순민 상무는 ‘통신사들은 AI 혁신에 뒤처지고 있는가? (Are Telcos Behind the AI Curve?)’ 세션에도 참여해 각국의 통신 사업자들과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 세션에서는 통신 산업 내 AI 도입 성공 사례와 어려움, 지역별 차이점 등의 현황을 진단하고, 도입 과정에서의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배상무는 KT와 마이크로소프트가 맺은 전략적 파트너십 사례와 함께 AI 기술 경쟁 시대에 부상 중인 새로운 파트너십의 영향력에 대해 강조했다. 또 인프라, 데이터, 인재 육성, 거버넌스 등의 영역에서 통신사의 역할을 제안했다.
이어서 GSMA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공동으로 주최한 ‘여성 ICT 리더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AI와 같은 신기술을 통한 포용적인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 토론했다. 배순민 상무를 비롯한 각국의 참석자들은 전 세계의 젊은 여성과 소녀들이 디지털 세계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KT AI 퓨처 랩장 배순민 상무는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윤리적 가이드라인 수립과 실질적 도입 전략은 선택이 아닌 필수” 라며, “KT는 앞으로도 책임 있는 AI 발전을 선도하는 동시에 실용적인 AI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며 산업의 AI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이하 SKT)은 GSMA와 유럽통신사업자협회(커넥트 유럽), 도이치텔레콤 등 여러 해외 기관 및 사업자에게 자사 AI 정책(거버넌스)을 소개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AI 거버넌스는 인공지능(AI)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해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을 추구하는 가치체계로,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전담 조직과 윤리 프로그램 구축 등을 통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SKT는 정재헌 사장(CGO) 직속 AI 거버넌스 전담팀을 올해 초 출범시키며 올해를 AI 거버넌스 확산의 원년으로 만들겠다는 각오다. 이번 MWC25에서는 AI 거버넌스 도입의 필요성과 함께 SKT의 AI 거버넌스 원칙 ‘T.H.E. AI’의 내용과 도입 성과를 공개했다.
‘T.H.E. AI’는 ‘by Telco, for Humanity, with Ethics AI’의 약자로, SKT AI의 특성(by Telco, 통신기술 기반), 목표(for Humanity, 사람을 향한, 사람을 위한), 가치(with Ethics, 윤리적 가치 중심)를 의미한다. SKT는 이 원칙을 바탕으로 ‘AI 행동 규범(Code of Conduct)’을 구체화해 사규에 반영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서약에 전 구성원이 동참하는 등 조직 내 AI 거버넌스를 체계적으로 정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SKT는 국내 통신사 최초로 AI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정재헌 SKT CGO는 "AI 기술의 신뢰와 안전성을 확보해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며, "2025년을 AI 거버넌스 도약의 해로 삼고 'T.H.E AI' 원칙을 통해 글로벌 신뢰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4일 MWC25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LG유플러스 기존의 혁신을 뛰어넘어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는 ‘의제 설정자(Agenda Setter)’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신뢰하고, 안심(Assured)하고 쓸 수 있는 AI 기술에 집중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에게 딱맞는(Adaptive) 경험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청사진을 세웠다.
홍범식 대표는 “밝은 세상으로 향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안심 지능(Assured Intelligence)”이라며 “고객이 안심하고 쓸 수 있는 AI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의 근본적인 생각의 프레임을 바꿔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 KT, ‘한국적 AI’와 SPC로 AX 혁신 가속화
- KT, 미디어전략본부장에 신종수 전 CJ ENM 본부장 선임
- SKT-엘리스그룹, AI DC 모듈러 분야 협력
- LG유플러스 홍범식, “AI 시대 ‘의제 설정자’ 역할”
- LG유플러스, 사우디 통신사와 ‘익시오’ 글로벌 진출 협약
- SKT, ‘슈나이더 일렉트릭’와 AI DC 구축 협력
- K-AI, MWC 돌풍 일으키나…글로모 어워드 수상 기대
- SKT, MWC25 글로모어워드 4관왕·6년 연속 수상
- KT, '함께 쓰는'·'하루종일' 로밍 혜택 강화
- 통신3사, MWC서 AI 수익화 청사진 제시
- SKT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 170개로 확대
- LG유플러스, AWS와 AI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맞손’
-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 취임 100일 맞아 타운홀미팅 개최
- LG유플러스, 3GPP 워크숍서 6G 비전 ‘S·I·X’ 공개
- 이통3사, 법조인 사외이사 모시기 ‘사활’
- LG유플러스, 배송로봇으로 호텔 비대면 룸서비스 제공
- KT 호텔 매각 '갑론을박'…김영섭 연임 위한 포석인가?
- SKT, 에이닷에 구글 LLM ‘제미나이’ 추가
- SK텔레콤, 지난해 해외 사업장 늘어
- 방통위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서 SKT '매우 우수'…LG U+와 KT '우수'
- SKT, 대표·임직원 연봉 모두 이통3사 중 ‘최고’
- 이통3사, 미디어 사업 전략 재편 ‘온도차’
- 유영상 SKT CEO ““AI피라미드 2.0·운영 효율화로 성과 창출”
- KT, MS와 전국민 대상 교육 사업 공동 추진
- 이통3사 직원들 1년만에 3000명 짐쌌다
- 이통3사 1Q 영업익 1.5조 돌파 전망…KT 견인할 듯
- 통신 3사, 광복 80주년 맞아 ‘V컬러링’ 기부 캠페인 진행
- KT엠모바일만 웃었다…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 실적 ‘희비’
- SKT, 지난해 정보보호 투자 2년전보다 줄어…KT·LG유플과 대조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