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대리점ⓒ문재호 기자
▲이동통신 대리점ⓒ문재호 기자

번호이동 순증 감소세…알뜰폰 성장세 '정체' 

연내 도매대가 인상 협상 '주목'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알뜰폰(MVNO) 시장에 어려움이 감지되고 있다. '아이폰16' 출시로 전체 번호이동 규모는 증가했지만 알뜰폰 가입자 순증 폭이 감소하며 성장세가 둔화하는 양상이다. 이에 알뜰폰 사업자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도매대가 인하 등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11월 국내 번호이동 건수는 51만8,240건으로 전달 보다 2.73% 늘었다. 9월 아이폰16 출시 효과로 인한 이동통신 시장 경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통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에서 알뜰폰으로 옮긴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 규모는 2만2,052명으로 전월비 7.8% 줄었다.

올해 1월 알뜰폰 번호이동 순증 규모는 7만8,060명에 달했다. 이후 4월 2만158명으로 급감했고 5월에는 2012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2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9월 아이폰16 출시로 인한 효과로 10월 순증 규모가 전월 대비 14% 증가했지만 연초와 비교하면 3분의 1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알뜰폰은 저렴한 요금제가 강점이었으나, 올해 들어 이통3사의 중저가 5G 요금제와 2~3만원대 온라인 다이렉트 상품 출시로 경쟁력이 약화했다. 갤럭시S24와 아이폰16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구매를 선호하는 소비자는 알뜰폰 요금제의 매력을 덜 느끼는 점도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정부가 추진하는 알뜰폰 점유율 규제가 시장을 더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정부 추진안 처럼 대기업 계열 알뜰폰 시장점유율을 60%로 규제하면 금융권을 포함한 대기업 계열 알뜰폰 사업자들이 한정된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해야 하기에 소비자 통신 복지 후생을 고려했을 때 알뜰폰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며 “금융권 등 대기업도 들어올 수 있어야 저렴한 요금제를 마련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와 알뜰폰 업계는 도매대가 협상 과정에 사전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꾸준히 요구해 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수용해 제5차 법안소위에서 도매대가 사전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알뜰폰 업계는 그동안 과기정통부 장관 고시를 통해 도매대가를 사전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던 만큼 정부의 이번 입장에 대해 환영하는 기색이다. 사전 규제란 협상력이 약한 알뜰폰 사업자 대신 정부가 망제공의무가 있는 이동통신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을 대상으로 망도매대가 협상에 나서는 것을 말한다.

과기정통부는 매년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알뜰폰 사업자들을 대신해 도매제공 의무를 지닌 SK텔레콤과 도매대가 협상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21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변재일·윤영찬 의원 주도로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되면서, 내년 4월부터는 알뜰폰 업체들이 직접 이동통신사와 협상하도록 제도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사전규제를 다시 도입하자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알뜰폰 업계는 올해 안에 도매대가를 인하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특히 알뜰폰의 주요 상품인 ‘정액형 요금제(RS)’의 도매대가 인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8월 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들과 음성 및 데이터 요금 협상을 진행했지만 아직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아 업계는 도매대가가 연내 인하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과기정통부가 알뜰폰 사업자들을 대신해 협상을 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K텔레콤이 ‘종랑제 요금제(RM)’ 도매대가만 일부 인하를 해주고, RS는 지난 수년간 인하를 해줬으니 해주지 못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이라며 “중소 알뜰폰 사업자도 함께 온전히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전 규제가 유지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