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하나은행, 건설업 연체율 ‘1%’ ‘역주행’
건설사 올해만 ‘660개’ 폐업…건전성 위기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시중은행이 건설업종에 내준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경우 1%대 연체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업대출에서 1%대 연체율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16년 이후 8년만이다. 건설업 경기 부진이 본격화하는 양상을 나타내면서 은행들의 관련 대출 리스크 관리도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1분기 기준 단순 평균 건설업 연체율은 0.78%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0.44%) 대비 0.34% 포인트, 전년 동기(0.37%) 대비 2배 이상 급등했다.
기업대출 전체 연체율을 보면 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은행을 기준으로 올해 1분기 0.35%를 기록했다. 1년 전(0.30%)에 비하면 0.05%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단순 비교하면 건설업종에서 부실대출 채권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다. 건설업계의 유동성이 악화하며 해당 업종의 연체율이 높은 속도로 ‘역주행’하는 것이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하나은행의 경우 1%대 건설업 연체율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분기 0.28%에서 4분기 0.75%, 올해 1분기 1.18%로 뛰었다.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0.28%에서 0.33%, 1.13%로 치솟았다. 국민은행의 지난 1분기 건설업 연체율은 0.41%로 전년 동기 0.26%에서 0.15%포인트 상승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해 1분기 0.46%에서 올해 1분기 0.39%로 낮아졌으나, 전체 기업 연체율(0.28%)보다는 월등히 높았다. 농협은행은 업종별 연체율을 공시하지 않았다.
이같은 흐름은 건설업 악화가 주된 원인이다. 통상 건설업종의 자금 조달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만기가 짧아 투자자로부터 금융기관보다 저렴한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시공사의 연대보증이 있어 리스크가 줄어든다. 하지만 경기 악화로 시행사들이 발행한 ABCP가 시장에서 수요가 줄자 은행 대출을 늘렸고, 부실화가 시작된 것이다.
올해 들어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등 부실채권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연체율도 상승세를 탔다. 국토교통부 공시를 보면, 지난해 전국에서 폐업 처리된 건설업체는 1948곳으로, 2006년 이후 최대치다. 올해 폐업을 신고한 건설업체도 660곳에 이른다. 또 올해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 5곳은 광주·울산·경북·경남·제주 등 지방을 근거지로 두고 있다.
문제는 부실화 속도다. 분양시장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고금리 지속, 공사비 상승 등의 비용 부담 증대로 건설업종 자체의 재무 위험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큰 틀에서 은행들이 부실채권 자체를 상·매각하고 있지만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5대 은행은 올해 1분기 중에만 1조6,079억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의 8,536억원보다 88.4% 늘어난 규모다. 2022년 1분기(4,180억원)와 비교하면 상·매각이 불과 2년 새 4배 가까이 급증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내수시장이 살아나지 않는 상황, 금리와 환율 등으로 건설업 관련 리스크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연체율은) 결국 건설업종의 한계기업 늘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는데, 시장침체가 계속돼 대출들이 부실이 돼 돌아오면서 그만큼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건전성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여파가 건설업 전체의 부실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부연했다.
- 시중은행, 고신용자에 ‘대출 빗장’ 왜?
- 카드론, ‘39조’ 돌파…은행권, ‘대출 빗장’에 쏠림
- 4대 은행, 외화 단기 차입 4.4조…“달러강세, 외환거래 손실 증가”
- 3월, 코픽스 ‘0.03%’포인트 하락…“주담대 금리 하락”
- 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이달 중순 결정
- 시중은행, 금리리스크 5조…“고금리, 대출 부실”
- 금감원, 시중은행·2금융권 잇달아 면담
- 4대 은행, 대출 손실액 ‘50%’ 증가…“역대 최대 증가율”
- 시중은행, 은행채 발행 ‘주춤’…“예수금 증가, 자금수요 대응 조절”
- 중견건설사, 공공공사 수주 적극 나서는 까닭은
- 재건축 규제 완화에 쏠린 정책…리모델링 동력 잃나
- 강호동 농협회장, 농협조합장에 월 ‘100만원’ 지원…“지나친 포퓰리즘”
- 주요 건설사 영업이익률 희비…삼성물산 6% 독주
- 농협은행, 기업대출 상대적 둔화…“연체율 상승, 대기업 중심”
- 5대 시중은행, 달러예금 ‘5조’ 감소…“환차익 실현”
- 신한은행, 신보·기보와 문화콘텐츠 육성 지원
-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이행약정 체결…본격 이행 돌입
- 국민은행, KB스타뱅킹 리뉴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