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2019년 이후 최고치…기업·가계 연체율 모두 상승

[SRT(에스알 타임스) 한시은 기자] 시중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은행들의 건전성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등을 유도해 연체율을 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작년 10월 말(0.43%) 대비 0.03%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월 연체율 '0.46%'는 2019년 11월 연체율 0.48%를 기록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신규 연체 발생액(2.7조원)은 전월(2.4조원) 대비 0.3조원 증가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2.0조원)는 전월(1.3조원) 대비 0.7조원 늘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부문과 가계부문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의 경우 0.61%로 전월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은 0.18%로 전월보다 0.10%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9%로 전월 말 대비 0.02%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5%로 0.01%포인트 증가했다. 신용대출은 0.76%로 0.05%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연말에는 통상 연체채권 정리 규모를 확대해 12월 말 연체율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규연체 확대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를 통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추진해 선제적으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연체율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연체·부실채권 상매각(부실 채권을 손실로 확정해서 자산을 상각하는 것) 등 정리를 확대토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 일각, “연체율, 1금융권에 끼칠 영향 거의 없어”

반면 일각에서는 연체율 상승세를 두고 은행 건전성에 큰 영향을 끼칠 문제는 아니라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연체율은 둘로 나눠봐야 한다. 주택담보대출 등과 그 외의 것”이라면서 “주담대 연체율의 상승폭이 매우 높은 편은 아니라, 1금융권에 건전성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는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신용대출 연체율은 현재 고금리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경기침체 상황이기에 반영되고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또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1금융권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현재 신용도가 높은 것이므로 걱정을 해야 할 부분까지는 아니다. 시급하게 관리해야 할 부분은 2금융권의 연체율”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