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하나·농협은행, 동산 대출 ‘주도’

“부실화 진행될 경우 회수 어려워”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국내 은행들의 올해 상반기 동산담보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보다 7% 가까이 줄었다. 동산담보대출은 기계설비나 재고자산, 농축수산물 등 유동성이 큰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상품이다. 담보로 잡힐 자금이 없는 중소기업을 위한 대표 대출 상품으로 꼽힌다. 리스크 확산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에 힘을 쏟는 상황에서 은행권이 담보나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이 동산을 담보로 실행한 대출 잔액은 총 1조5,847억원으로 집계됐다. 규모로 따지면 지난해 말보다 6.5%(1,106억원) 줄었다.

지난 2018년 말 4,361억원 수준에 그쳤던 은행권의 동산대출 규모는 ▲2019년 말 9,228억원 ▲2020년 말 1조4,466억원 ▲2021년 말 1조7,857억원 등으로 확대됐다. 이후 지난해 말 1조6,953억원에 이어 올해 들어선 감소폭이 커지는 양상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대출 한도가 꽉 찬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여력 확대 방안으로 동산대출 활성화를 꼽고, 2022년까지 취급 규모를 6조원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이후 동산담보회수 기구를 출범하고 제재 면책 대상에 동산대출을 포함하는 등 은행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지만 불균형한 성장세에 갈 길이 아직 멀어 보인다.

실제 공시된 시중은행의 동산대출 실적을 보면 지난해 3분기 NH농협은행과 하나은행만 증가세를 나타낸 바 있다. 농협은행의 경우 작년 3분기 기준 4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28.5% 늘었다.

이 같은 흐름은 동산의 특성상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담보 대출로 분류되지만 부동산보다 회수 불확실성이 높고 부실이 발생할 경우 담보권을 실행하려면 경매 같은 과정을 통해야 하는데, 회수 과정이 비교적 까다롭다. 결국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등 여러 기술을 접목해 사후관리를 철저하게 할수록 리스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권에선 부동산 PF 등 대규모 손실이 현실화하면서 은행권이 건전성에 치중해 지속적으로 동산대출을 확대하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기업이 도산해 대출을 갚지 못할 경우 부동산 담보나 신용대출도 동산담보대출과 마찬가지로 리스크가 있다”며 “상대적으로 동산대출의 위험성이 큰 편인데, 대출을 실행한 이후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을 활용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동산에 식별번호를 별도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동산담보대출 확대는 리스크 관리 능력에서 갈리기 때문에 (은행들이 부담을 느끼고) 지속적으로 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확대하려고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