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텔레그램 계정 탈퇴한 김 전 장관 휴대전화 압수
서울동부구치소 이송…48시간 내 구속영장 청구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주동자 중 한명으로 알려진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을 8일 조사한 뒤 긴급체포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검찰 특별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7시 52분께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을 긴급체포했고 소지하고 있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이 “국민적 의혹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이날 오전 1시 30분께 스스로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출석해 조사받은 뒤 6시간여 만이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이 고발된 형법상 내란 혐의가 사형까지 가능한 중범죄이고 관계자들과의 말 맞추기 등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긴급체포 요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피의자가 사형·무기징역 또는 장기 3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에 해당하는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는 때에 긴급을 요해 체포영장을 받을 수 없는 때에는 영장없이 피의자를 체포할 수 있다.
김 전 장관은 최근 텔레그램 계정을 탈퇴했다가 재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증거를 없애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수본이 조사 후 김 전 장관이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전화 1대를 압수한 만큼 포렌식 절차를 거쳐 메신저 대화 내용 등을 복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로 이번 비상계엄 선포를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대통령과 함께 사실상 주도한 인물로 꼽힌다.
특수본은 지난 6일 출범 직후 관계자들의 엇갈린 진술이 쏟아지는 가운데 핵심 인물인 김 전 장관의 진술 확보가 급선무라고 보고 조속한 출석을 요구해왔다. 김 전 장관 측도 이날 자진 출석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뒤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긴급체포된 김 전 장관은 서울동부구치소로 이송됐다. 심야 조사가 이뤄진 만큼 이날 추가 조사가 이뤄질지는 현재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에 대한 추가 조사를 거쳐 체포 시점으로부터 48시간 이내에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거나 법원에서 발부받지 못한 때에는 김 전 장관을 즉시 석방해야 한다.
-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 무산…여당 불참에 ‘투표 불성립’
- 우원식 국회의장, 여당에 ‘탄핵 투표’ 참여 호소…종료 미루고 대기
- 계엄·탄핵 정국 진행형…유통가 '좌불안석'
- 금융지주사 ‘외화’ 관리 비상…“환율 불안정, 리스크 관리”
- 우원식 국회의장, 계엄군 국회 진입에 따른 피해 상황 점검
-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6시간만 해제 후폭풍
- 비상계엄 사태에 카카오 비상경영회의…여파 영향 검토
- 계엄 해프닝에 재계 비상대책 분주…증권가 “단기적 변동성 예상”
-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 한은, 4일 오전 임시 금통위 개최…“비상계엄에 시장안정화 논의”
- ‘비상 계엄’ 선포에 원·달러 환율 급등
- HD현대, ‘글로벌 AI 군사회의’서 무인함정 기술 선보여
- 한동훈 “질서있는 조기 퇴진으로 혼란 최소화해야”
- 야당 “한동훈·한총리, 2차 내란…헌법적 권한 없는 위헌통치”
- 4대 금융, 시총 ‘11조’ 증발…“패닉 수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