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기 최대 매출 기록...영업익은 61% 감소
김범석 의장 “점유율 한 자릿수 불과...사업 개선 노력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쿠팡이 매출 9조원을 넘어 분기 매출 최고치를 달성했지만 영업이익은 대폭 감소해 앞으로의 사업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쿠팡Inc는 8일(한국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1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늘어난 71억1,400만달러(9조4,505억원)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비 61% 감소한 4,000만달러(531억원)를 시현했다고 공시했다.
쿠팡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것은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여기에 2,400만달러(319억원) 당기순손실로 2022년 2분기 영업흑자 이후 7분기 만에 적자 전환했다.
사업별로는 로켓배송·로켓프레시·로켓그로스·마켓플레이스를 합친 프로덕트 커머스 매출이 64억9,400만달러(8조6,269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다.
쿠팡이 올해 1월 인수한 명품 패션플랫폼 파페치는 1분기부터 실적에 편입돼 매출액 2억8,800만달러(3,825억원)를 기록했다. 파페치를 포함해 쿠팡이츠·대만 사업 등 성장사업 부문 매출은 6억2,000만달러(8,236억원)로, 전년 동기 매출액 1억4,200만달러(1,813억원)에서 4.5배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성장사업 부문 조정 에비타(EBITDA, 감가상각전 영업이익) 적자는 1억8,600만달러(2,470억원)로 4배 확대됐다. 이 중 파페치의 조정 EBITDA 손실분은 3,100만달러(411억 원)다.
이러한 실적 분위기를 타고 쿠팡은 향후 사업 고삐를 바짝 죌 전망이다. 김범석 쿠팡Inc 의장이 이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한 주요 투자 내용은 ▲한국 제조업체·중소기업 투자 ▲와우 멤버십 고객 혜택 규모 확대 등 크게 2가지다.
쿠팡은 국내 제조업체와 중소기업이 로켓배송 인프라를 통해 더 향상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목표다. 한국산 제품 구매·판매액을 지난해 130억달러(17조원)에서 올해 160억달러(22조원) 이상으로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와우 멤버십의 경우 무료배송·반품, 할인쿠폰 제공 등 지난해 30억달러(4조원) 투자에서 더 나아가 올해는 40억달러(5조5,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쿠팡이츠나 쿠팡플레이에 대한 혜택도 꾸준히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김 의장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최근 불거진 중국 이커머스 공세를 거론하며 지속적인 사업 개발 당위성을 언급했다.
김범석 의장은 “새로운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진출 모습은 관련 업계의 진입 장벽이 낮다는 점과 소비자들이 다른 어떤 산업 보다도 빠르게 클릭 한번 만으로 몇 초 만에 다른 쇼핑 옵션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며 “고객은 구매할 때마다 새롭게 선택을 하고, 더 좋다고 생각되는 곳에서 소비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기에 최고의 상품군과 가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매번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의장은 “쿠팡이 한국에서는 성장세지만 거대하고 고도로 세분화된 이커머스 시장에서 우리의 점유율은 여전히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사업 개선을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 쿠팡, 1분기 매출 첫 9조 넘어…영업익 531억 61%↓
- 3년새 10배 껑충...‘쿠팡플레이’ 약진을 보는 엇갈린 시선
- 공정위, 쿠팡 하도급 판촉비 의혹 조사…쿠팡 “사실과 달라”
- ‘배달앱’ 규제 1년…배민 등 5개사 상생안 이행 어땠나
- 中 알리·테무, 이용자 ‘상승’·거래액 ‘하위’...의미는
- 메디톡스, 올해 1분기 매출 546억 ‘역대 최대’
- 국세청, 쿠팡 비정기 세무조사…쿠팡 “통상적인 조사”
- 공정위, 쿠팡 멤버십 인상 관련 ‘다크 패턴’ 여부 조사
- 위메프, 네고끝판왕·지금핫딜 여름 상품 기획전 ‘눈길’
- 쿠팡이츠, 점유율 1년새 두 배↑…약진한 이유 보니
- 쿠팡, 올해 2분기 매출 첫 10조 돌파…영업손실 342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