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미래에셋생명·흥국생명 등이 국내 주요 생명보험사 가운데 보험계약 유지율이 최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손해보험사 중에서 삼성화재와 한화손해보험이 낮은 축에 속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이들에 대해 개선계획을 징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22일 '2024년 보험회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해 보험계약 유지율은 1년(13회차) 87.5%, 2년(25회차) 69.2%로 계약의 30%가 2년내 해지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외 보험사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다. 주요국 2년 유지율은 싱가포르 96.5%, 일본 90.9%, 대만 90.0%, 미국 89.4% 순이다.
국내 유지율은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종료되는 3년(37회차)후부터 유지율이 50%대로 하락했으며, 5년(61회차) 유지율은 46.3%에 그쳤다. 회차가 더해질 수록 유지율이 떨어졌다.
특히 생보사의 경우 저금리 시점인 2021년에 가입한 저축성 보험의 해지 등으로 3년차 이후부터 방카 채널 유지율이 급격히 하락했다. 실제 국내 주요 생보사의 5년(61회차) 보험계약 유지율은 미래에셋이 31.3%을 기록해 업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흥국생명(33.9%), 동양생명(37.2%), 신한라이프(39.4%) 역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농협생명(56.1%), 삼성생명(48.1%), 하나생명(47.7%), DB생명(46.1%), 교보생명(45.4%) 등은 보험계약 유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미래에셋생명 관계자는 “주요 판매 상품인 변액보험의 특성상 장기보유에 따른 수익률 상승 및 차익 실현이 5년 계약 유지율 하락의 주된 원인” 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주요 손보사 중에선 삼성화재(43.9%), 한화손해보험(44.0%) 등이 낮은 축에 속했다. 이에반해 하나손보(57.6%), 현대해상(54.1%) 등은 유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속과 GA 채널의 경우 보험계약 초기(1년) 유지율은 각각 87.7%, 88.3%로 다른 채널보다 높았으나, 3년차 이후부터는 50%대로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지율 미흡 보험사에 대해서는 낮은 유지율에 대한 원인분석 및 유지율 개선계획을 징구할 것”이라며 “유지율을 보험사 감독·검사의 주요 관리 지표로 설정하고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불완전판매비율은 0.025%로 개선되는 추세다. 생명보험·손해보험사 간 불판율 차이도 축소했다. 같은 기간 보험회사 전속설계사의 정착률(1년)은 52.4%로 전년(47.3%) 대비 5.1%포인트(p) 올랐다.
한편 금감원은 최근 방카채널의 판매비율 규제 완화된 만큼 금감원은 보장성 보험판매 경쟁 심화에 따른 소비자 피해 가능성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 미래에셋그룹, 산불 피해복구에 5억 기부
- 미래에셋생명 변액종신보험 '미담', 고객 인생이야기 담아
- 생보사, 투자이익 감소 우려…시장금리 내림세 '직격탄'
- 미래에셋그룹 임원 승진 인사·조직개편 실시
- 미래에셋생명, ‘1사1교 금융교육’ 실시
- KB손보·신한라이프, 비은행 실적 ‘1위’…“지주실적, 성장 트리거”
- 삼성화재, 중소기업 대상 사이버종합보험 출시
- 금융위,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기준 130%로 하향 조정
- 보험사, 오너가 3세 경영능력 ‘시험대’
- 현대해상, '어린이 눈높이 115㎝' 맞춘 미술 전시회 개최
- 현대해상, 1분기 순익 2,032억원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