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 GPU H100 기반 ‘GPUaaS’ 선봬…곧 H200도 도입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은 지난해 12월 30일 가산 AI 데이터센터(이하 AI DC)를 개소하고, 시범 운영을 마친 뒤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독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SKT는 지난 ‘SK AI 서밋 2024’에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전략을 발표한 이래 연말 조직 개편에서 ‘AI DC 사업부’를 별도 조직으로 신설하고, GPUaaS를 새롭게 출시하는 등 연이은 행보로 ‘AI 인프라’ 사업 본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은 ▲AI데이터센터 ▲GPUaaS ▲에지AI(Edge AI) 등 세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국의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전략을 뜻한다.
이번에 오픈한 가산 AIDC는 랙당 전력밀도가 국내 최고 수준인 44kW로 국내 데이터센터 랙 당 평균 전력밀도인 4.8kW의 약 9배에 달하는 등 고밀도 GPU 서버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코로케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데이터 코로케이션은 데이터센터 전문기업이 전산실 등의 공간을 임대하고, 고객 장비를 위탁관리·운영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 엔비디아 H100 기반 ‘SKT GPUaaS’ 출시…람다와 함께 1년여간 준비
‘SKT GPUaaS’는 美 람다(Lambda)와 지난 1여년간 함께 준비한 구독형 AI 클라우드서비스다. 이를 위해 가산 AIDC에 람다의 한국 리전*을 유치하였으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처음으로 생기는 람다 지사다.
SKT는 지난 2월 AI DC 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첫 번째 글로벌 행보로 글로벌 GPU 클라우드 회사인 람다에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2012년 AI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람다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을 대상으로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GPUaaS 기업으로, SKT는 람다와의 협력을 통해 그래픽 처리장치(GPU)의 안정적 확보를 기반으로 AI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금번 출시하는 GPUaaS는 엔비디아 GPU H100을 기반으로 한다. H100은 현재 국내에 도입된 GPU 중 가장 성능이 좋다.
SKT GPUaaS 가격은 약정 기간, GPU 개수, 선불형의 과금 형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책정해 고객 편의를 크게 강화했다. 예를 들어 고객이 24개월 동안 32개의 GPU를 원할 경우 이에 맞는 가격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1개월, 2개월 등 단기 서비스 이용도 가능하다.
SKT는 GPUaaS 출시를 기념해 특별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2월 말까지 약 2개월 간 구독 가격의 20% 할인해준다.
◆ 100개 이상 기업 문의 쇄도… 곧 이어 H200 도입해 고객 확대 박차
SKT는 GPUaaS 정식 출시 전부터 100개가 넘는 기업들이 구체적인 내용을 문의하는 등 서비스에 대한 업계 관심이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대기업,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AI를 연구하는 각종 대학과 연구 기관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SKT GPUaaS’ 서비스에 대한 시장의 높은 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반응이다.
이와 함께 SKT는 1분기 중 최신 GPU인 H200도 도입할 예정이다. 국내 최초로 H200을 도입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이 보다 빠르게 AI 기술 ·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GPUaaS 고객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김명국 SKT GPUaaS사업본부장은 "이번 GPUaaS 출시는 AI 데이터센터 사업이 고객에게 다가가는 첫번째 사례로, SK텔레콤이 AI 인프라 핵심 사업자로 자리매김하는데 의미가 크다”며, “국가 AI 경쟁력을 높이는 GPU 팜으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SKT·SK하이닉스, 펭귄 솔루션스와 ‘AI DC 공동 R&D 및 사업’ 추진
- SKT, CES서 AI 아이템 32개 소개
- 이통3사, CES 2025서 AI 사업 강화 '총력' 나선다
- [신년사]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AI로 가시적 성과 창출해야”
- SKT, AI 데이터센터 개소…GPUaaS 캐시카우 되나
- SKT, CES 2025서 AI 역량 세계에 알린다
- [2024 전자·IT 결산] 올해도 역시 'AI'…신시장 공략 가속화
- SKT, 통신과 AI 중심 7대 사업부 체계 구축
- SKT, 설 앞두고 파트너사에 1230억원 대금 조기 지급
- 핵토이노베이션 최대 실적 기대감…비결은
- [신년기획] 통신·IT업계, AI 데이터센터로 GPU 인프라 시장 공략
- SKT-포스텍, AI로 스마트폰 통신 성능 향상 기술 실증 성공
- SKB, 유료방송 시장 둔화 속 ‘군계일학’ 성과…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