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17개에너지공기업, 연구개발 협력 양해각서 체결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에너지 기술 개발 정책의 효과적인 이행과 기술 혁신을 앞당기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17개 에너지 공기업이 손을 맞잡았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3일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산업부 산하 17개 에너지 공기업,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에너지 공기업 기술혁신 협의회를 가졌다.
협의회에 참여한 에너지 공기업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원자력연료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가스기술공사 등이며 한전KPS는 참관인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산업부의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과 함께 본 계획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에너지 공기업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내년 에너지 기술개발 예산 규모가 산업부의 경우 1조2,000억원(잠정), 에너지 공기업의 경우 1조3,000억원에 달하는 점을 주목하면서 보다 긴밀한 협력을 통한 효율적 예산 집행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를 위해 17개 에너지 공기업과 에너지기술평가원은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하고 업무협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앞으로 각 기관들은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에 따른 정부와 공기업 R&D 협력 ▲공기업 간 R&D 과제와 성과 공유 ▲정부와 공기업 간 R&D 과제 기획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어진 시간에는 우수 사례 성과로서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전력기술이 각각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분야에서 R&D 기술 혁신 사례와 원자력 안전기술 분야에서 사업화 우수 사례를 발표했다. 한국전력공사는 LNG 발전 연계 CO2 포집 핵심 기술 개발 및 대규모 격상설계, 한국전력기술은 해외 내진분석 기술 기준을 적용한 설계초과지진 대응 기술개발 사례를 각각 공개했다.
최 차관은 “정부 정책 방향과 에너지 공기업의 투자 방향을 잘 조율해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 혁신을 앞당기겠다”고 강조하고 참석한 공기업 임직원들에게 앞으로 적극적인 협력 활동을 펼쳐줄 것을 당부했다.
- 전력거래소, 2024년 청정수소발전 입찰결과 발표
- 산업부, 전력구매계약 망이용료 지원…펀드 투자 확대
- 한수원 중앙연구원, 안전관리 최우수연구실 선정…장관상 수상
- 가스안전공사 ‘제31회 대한민국 가스안전대상’ 개최
- 26개 기업·기관 참여한 ‘K-그리드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
- 한국지역난방공사, 배당기준일 변경…주주가치 제고
- 한국전력, 부채 200조원대 요지부동…이자만 연 4.5조원
- 한전 동서울변전소, 업무겸용 주민친화형 복합사옥 조성
- 한국수력원자력, 사내벤처 ‘딥아이’ 연구소기업 등록
- 한국전력 감사실·ISACA, 디지털 재난 예방 및 IT분야 내부통제 강화 ‘맞손’
- 한국전력공사, 직급·호칭체계 개선…수평적 조직문화 ‘속도’
-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In-Site’ 현장경영 첫걸음
- 한국전력공사, 임시주주총회서 안중은 상임이사 선임
- 한전, 분산에너지 활성화 위한 ‘DSO-MD 제주센터’ 개소
- 가스공사, 새해 발주 계획…연간 1조2,623억원 푼다
- 한국난방공사·세종시, 황톳길 세족장 온수 공급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