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급 명칭 개선, 호칭 차별적 요소 제거 등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직무와 역량 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 구현 노력의 하나로 창사 이래 계속 사용해온 연공서열 성격의 직급 명칭과 호칭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한전은 위계적인 성격의 ‘숫자 표시 직급(1~6직급)’을 사용해왔다. 이번에 한전은 직무 중심의 HR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직급 명칭을 직위와 직무 중심으로 개편했다. 기존 4(가)직급-4(나)직급-5직급-6직급 등의 직제가 선임-일반-현장·기술-전문·사무 등으로 개선된다.
또 기존에는 직원 호칭 상향(주임→대리→과장)에 소요되는 기간이 직급에 따라 달라 조직 내 보이지 않는 위계질서가 존재했다. 예를 들어 입사 10년차 전문·사무직(기존 6직급) 호칭은 ‘사원’이지만 입사 4년차 일반직(기존 4직급) 호칭은 ‘대리’였다.
한전은 이번에 호칭 체계 개선을 통한 호칭 부여 기준을 일반직(기존 4직급) 대졸 입사 수준으로 통일해 직급 간 불필요한 차이를 제거했다.
더불어 수직적 조직문화 타파를 위해 사내 시스템에서 동료 직원 검색 시 표시되는 정보를 기존의 불필요한 숫자 표시 직급 대신 실질적으로 협업에 필요한 직군(무슨 일을 하는지)과 호칭(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표기로 대체했다. 예컨대 기존 ‘6직급 박전기’는 ‘사무기술담당 대리 박전기’로 개선된다.
이외에도 한전은 직원 간 직급, 연공서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제거해 직무와 역량 중심의 수평적 조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21년에는 공공기관 최초로 최상위직급인 1(가)와 1(나)직급을 통합해 기존의 익숙한 관행에서 탈피한 능력과 성과 중심의 수평적 조직으로의 전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또한 한전은 2022년부터 수행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등 직무의 가치를 반영한 ‘직무경력 인덱스(Index)’를 승진 심사 시 도입해 수십년동안 이어졌던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 문화를 탈피했다. 직무경력 인덱스는 수행 직무에 따라 차등 부여한 가중치를 반영해 산출된 근무 경력점수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도 한전은 공기업 특유의 딱딱하고 수직적인 조직문화를 벗어던지고 직무 기반의 유연하고 수평적인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전력 감사실·ISACA, 디지털 재난 예방 및 IT분야 내부통제 강화 ‘맞손’
- 한전 동서울변전소, 업무겸용 주민친화형 복합사옥 조성
- 한국전력, 부채 200조원대 요지부동…이자만 연 4.5조원
- 26개 기업·기관 참여한 ‘K-그리드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
- 17개 에너지 공기업, 기술 혁신에 힘 모은다
- 한전, 사우디아라비아 대규모 가스복합 2개 사업 연속 수주
- 두산에너빌리티·한전KPS,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 ‘맞손’
- 한국전력공사, 올해 3분기 영업이익 3조3,960억원…전년비 70.1% 증가
- 한전·5개발전사 감사실, 외부감사인 공동선임 및 발주 ‘맞손’
- 한전,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력망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한국전력공사, 임시주주총회서 안중은 상임이사 선임
- 한전, 분산에너지 활성화 위한 ‘DSO-MD 제주센터’ 개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