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MD 운영 개념도. ⓒ한국전력공사
▲DSO-MD 운영 개념도. ⓒ한국전력공사

배전망 분산에너지 전력시장 참여 및 실시간 운전 현황 관리

ESS 연계 전력망 효율화 및 편익 공유 지역 유연성 서비스 확장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지난 9일 한전 제주본부에서 ‘DSO-MD 제주센터’를 열고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10일 한전에 따르면 DSO-MD 제주센터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분산에너지사업자가 보다 계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입찰 가능용량 등 정보를 제공해 배전망 내 전력 거래를 원활하게 관리하고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DSO-MD(Distribution System Operator - Market & Dispatch)는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분산에너지를 배전망운영자(DSO)가 관제해 안정적으로 배전망을 관리하고 시장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제주센터는 분산에너지사업자와 통신설비를 설치·연결해 전력시장 참여에 필요한 정보(배전망상태·입찰가능용량)를 제공하고 분산에너지사업자 발전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비상시 원격으로 출력조정을 요청한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소규모 재생에너지 자원을 모아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시범사업(재생에너지 입찰제도)이 진행되고 있다. 분산에너지사업자들은 전력시장에 참여해 발전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는데 날씨, 설비 공사, 고장 등으로 인해 계획대로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DSO-MD 제주센터는 분산에너지사업자들과 제어·통신설비를 연결해 사업자들의 전력시장 입찰 계획을 사전에 검증해 발전이 가능한 범위를 제공하고 사업자들이 좀더 계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한전은 DSO-MD 제주센터와 배전망 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ESS)인 LG에너지솔루션의 VPP 플랫폼을 연결해 안정적인 전력시장 참여 지원과 더불어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배전선로의 피크부하 저감을 통한 전력망 비증설투자대안(NWAs)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비증설투자대안(Non-Wires Alternatives)은 전력망 과부하가 발생하는 지역에 전력망 확충 대신 분산에너지 출력조정과 충·방전 등 유연성을 활용해 과부하를 억제하고 전력망 확충시기를 지연시키거나 억제하는 기술이다. 

특히 제주에서는 감귤 하우스 난방에 전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전기 수요가 급증하는 밤시간대(오후 10시부터 오전 4시까지)에 ESS 방전을 통해 전력 과부하를 해소하고 약 16억원의 전력망 보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한전은 분산에너지 활용으로 절감한 비용과 편익을 분산에너지사업자와 공유하는 ‘지역 유연성 서비스’ 운영을 통해 전력망 품질을 높이고 재무여건 개선에 노력할 방침이다. 

이준호 한전 안전&영업배전부사장은 “DSO-MD 제주센터 운영을 시작으로 배전망 자원을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력 공급과 전력망 이용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지역 유연성 운영체계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