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이용자·유료 사용자 수 소폭 감소…일본 지역 중심 매출 증가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엔터테인먼트는 7일(현지시각) 3분기 매출 3억4790만 달러(약 4,725억원)라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수치다. 영업손실은 808만5,000달러(약 109억8,000만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다.
회사 측은 매출 상승 배경에 대해 유료 콘텐츠, 광고 매출 성장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두 부문 매출은 각각 2억8,520만 달러(3,874억원), 4,340만 달러(589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8.9%, 20.8% 증가했다.
유료 콘텐츠의 경우 인공지능(AI) 기반 콘텐츠 추천 모델 도입에 따라 일본 지역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다. 일본에서 개인화된 AI 추천 모델에 힘입어 역대 최고 월간 유료 사용자(MPU)인 230만명을 기록하는 등 전체 유료 콘텐츠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 일본 웹툰 서비스 '라인망가'는 지난 8~9월 합산 게임 포함 일본 앱 마켓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3분기 웹툰 서비스 월 사용자 수(MAU)는 1억6,69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줄었다. 이 중 한국 MAU는 2,50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5.8% 줄었다. 반대로 일본 지역 MAU는 4.3% 증가한 2,250만명을 기록했다.
전 세계 MPU는 79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약 10만명 줄었다. 한국 MPU도 30만명 줄어든 390만명인 반면 일본 MPU는 30만명 증가한 230만명을 기록했다.
지식재산(IP) 비즈니스는 매출이 3.5% 줄어든 1,930만 달러(262억원)를 기록했다. 자회사 스튜디오N이 공동 제작에 참여한 '스위트홈 시즌3'가 넷플릭스 글로벌 톱10 TV(비영어권)에 진입, 애니메이션 '신의 탑 시즌2'와 '여신강림' 등도 글로벌 출시하는 등 성과가 있었지만 환율 영향에 소폭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 나스닥 상장한 네이버웹툰, 국내는 ‘사면초가’
- 네이버 노조, 웹툰·스튜디오 리코와 교섭 결렬
- 네이버웹툰, 하락세 속 생성형 AI로 반전 모색할까
- 국토부, 제9회 부동산산업의 날 기념식 개최
- 네이버, AI 원천기술 밀착 선언…"검색부터 쇼핑까지"
- “웹툰 보안 양식 제정 위한 R&D·법안 마련 필요”
- 네이버, 사우디 주택공사와 합작법인 설립
- K-웹툰, 불법 복제 보호 강화…TTA, 보안·라이선스 표준화 나서
- "기획부터 제작까지"…이젠 웹툰도 AI 창작 시대
- 네이버웹툰 '완완무' 이벤트 진행…레전드 완결작 9편 무료
- K-웹툰, IP 콘텐츠 확대 집중…해외 공략 가속
- 네이버웹툰, 동남아 현지 창작자 육성 강화
- 네이버웹툰, 할리우드 제작사와 북미 호러 웹툰 ‘스태그타운’ 영화 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