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 1기 팹과 클러스터 초기 운영에 필요한 부대시설 건설 위한 투자 확정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SK하이닉스가 26일 이사회 결의를 거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첫 번째 팹(Fab)과 업무 시설을 건설하는 데 약 9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기존에 정해진 일정대로 용인 클러스터에 들어설 첫 팹을 내년 3월 착공해 2027년 5월에 준공할 계획이고 이에 앞서 이사회의 투자 의사결정을 받은 것”이라며 “회사의 미래 성장 기반을 다지고, 급증하고 있는 AI 메모리 반도체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팹 건설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용인 원삼면 일대 415만㎡ 규모 부지에 조성되는 용인 클러스터는 현재 부지 정지(整地) 및 인프라 구축 작업이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이곳에 차세대 반도체를 생산할 최첨단 팹 4개를 짓고, 국내외 50여개 소부장 기업들과 함께 반도체 협력단지를 구축하기로 했다.
회사는 첫 팹 건설 이후 나머지 3개 팹도 순차적으로 완공해 용인 클러스터를 ‘글로벌 AI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승인된 투자액에는 1기 팹과 함께 부대시설과 업무지원동, 복지시설 등 클러스터 초기 운영에 필요한 각종 건설 비용이 포함됐다. 투자 기간은 팹 건설을 준비하기 위한 설계 기간과 2028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업무지원동 등을 고려해 2024년 8월부터 2028년 말까지로 산정했다.
회사는 용인 첫 번째 팹에서 대표적인 AI 메모리인 HBM을 비롯한 차세대 D램을 생산할 예정이며, 완공 시점 시장 수요에 맞춰 다른 제품 생산에도 팹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SK하이닉스는 국내 소부장 중소기업들의 기술 개발과 실증, 평가를 돕기 위한 '미니팹'을 1기 팹 내부에 구축할 계획이다. 회사는 미니팹을 통해 실제 생산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소부장 협력사들에게 제공해 이들이 자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기로 했다.
김영식 SK하이닉스 부사장(제조기술담당)은 “용인 클러스터는 SK하이닉스의 중장기 성장 기반이자 협력사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혁신과 상생의 장(場)이 될 것”이라며 “당사는 대규모 산단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수, 대한민국 반도체 기술력과 생태계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국가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역대 최대 찍은 SK하이닉스, 실적 고공세 이어갈까
- [창간기획-재계] 밀리면 도태된다…AI에 꽂힌 대기업 투자동향①
- SK하이닉스, 2분기 영업익 5조4685억원…흑자전환
- 반도체주 다시 들썩?...K-반도체, 미국 FMS서 최신 기술 선뵌다
-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하반기 5세대 HBM 양산 개시할 듯"
- SK하이닉스 ‘GDDR7’ D램 공개…3분기 양산 시작
- SK 리밸런싱, 한명진 SK스퀘어 신임 대표 과제는
- 칩스앤미디어, 2분기 영업익 6.3억원...전년비 66.5% ↓
- 리밸런싱 돌입 SK그룹, 잠재적 불안요소는
- SK하이닉스, ‘FMS 2024’서 차세대 기술 리더십 선봬
- 장지은 SK하이닉스 부사장 “창의적인 기업문화 위해 다양한 인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