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CNGR과 합작…연산 고순도 니켈 5만톤·전구체 11만톤 생산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포스코그룹이 전구체 점유율 세계 1위인 중국 CNGR과 손잡고 포항에 이차전지용 니켈과 전구체 생산 기반을 다진다.
31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과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는 포항 영일만4산업단지에 각각 니켈 정제공장과 전구체 생산공장을 착공했다.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와 CNGR이 각각 6대 4 지분으로 설립한 니켈 정제법인이며,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는 포스코퓨처엠과 CNGR이 2대 8지분을 투자해 설립한 전구체 생산 법인이다.
이번에 착공한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의 니켈 정제공장은 CNGR의 니켈 제련법인으로부터 순도 70% 수준의 중간재인 니켈매트를 들여와 순도 99.9%의 이차전지용 고순도 니켈을 생산할 예정이다.
니켈 정제공장의 고순도 니켈 생산 규모는 순니켈 기준 연산 5만 톤으로, 이는 전기차 약 12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이날 함께 착공한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의 전구체 공장은 연산 11만톤 규모 로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의 고순도 니켈을 이용해 전구체를 생산한다. 또한 포스코퓨처엠은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가 생산한 전구체를 활용해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으로 중간 소재인 전구체의 내재화율을 높여 밸류체인을 강화함으로써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과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는 총 약 1조5,000억원을 투자해 니켈, 전구체 공장을 준공하고 2026년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니켈은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용량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그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전구체는 이차전지의 용량과 수명을 결정하며 양극재 원가의 약 60%를 차지하지만, 2021년 기준으로 국내 수요량 중 국내 생산량의 비중이 26%에 불과할 정도로 수입의존도가 높다.
포스코그룹은 업계 최고 수준의 니켈 정제기술과 전구체 생산기술을 보유한 CNGR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에서 니켈, 전구체를 생산하여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소재로 활용하는 등 이차전지소재사업의 밸류체인 강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포항시는 지난해 7월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사업 특화단지에 지정된 바 있어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사업 투자 확대가 지역내 첨단산업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총괄은 “포스코그룹과 CNGR은 비즈니스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이차전지소재 공급망을 갖추고 사업간 시너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크라카타우포스코, 7억달러 규모 글로벌 채권 발행 성공
- 포스코그룹, ‘2024 글로벌 볼런티어 위크’ 개최
- 미국, 8월부터 중국산 '관세 폭탄'…국내 철강업계 '긴장'
- 장인화 포스코 회장 “이차전지소재 투자 축소 없을 것”
- "육아, 엄마 몫은 옛말"…포스코, 남직원 육아제도 활용률 증가
- 포스코1%나눔재단, 과학인재 양성 위한 ‘상상이상 사이언스’ 확대 운영
- 포스코-이통3사, 광양제철소 재난 대비 비상대응 훈련 시행
- 포스코그룹, 해외 리튬사업 강화 글로벌 행보 가속
- 이차전지소재 3사, 투자 속도조절 ‘각양각색’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美 WSD 콘퍼런스 기조연설서 미래 비전 제시
- 포스코홀딩스, 그룹 ESG 경영 성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포스코퓨처엠, 투자 이어 재무건전성·수익성 제고 ‘고심’
- ‘실적 부진’ 포스코홀딩스, 하반기 개선 가능할까
- 이차전지소재 3사, ‘전방산업 수요 약화’로 주가 하락세
- 포스코퓨처엠, 1조8,453억원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 계약 체결
- 주한미국대사, ‘포스코퓨처엠’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방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