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왼쪽)와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사장(가운데)이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음극재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지난 7일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왼쪽)와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사장(가운데)이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음극재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지난 7일 골드버그 대사, 이차전지소재 글로벌 공급망 현황 파악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필립 골드버그 주한한국대사가 지난 7일 포항에 있는 포스코퓨처엠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을 찾았다. 

8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자국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배터리 공급망 핵심 소재인 음극재의 생산현장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포스코퓨처엠을 방문했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보다 배터리 수명은 늘리고 충전시간은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수요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콜타르를 가공해 만든 침상코크스를 원료로 인조흑연 음극재를 생산중이다. 천연흑연 음극재와 달리 국내에서도 안정적인 원료 조달이 가능해 공급망 안정화에 유리하다. 

포스코퓨처엠은 인조흑연 음극재를 포함해 총 8만여톤의 음극재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최근 경쟁국에서 전략적으로 음극재 판매 가격을 대폭 인하하면서 가동률과 수익성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간담회에서 “포스코퓨처엠은 미국의 음극재 공급망 안정화에 있어 유일한 대안임에도 FEOC 2년 유예로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며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미국 정부에 일관된 정책 추진을 건의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골드버그 대사는 “어느 한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불공정한 무역 관행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급망 구축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