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8일 음극재 공급망 구축 현황 파악 및 애로사항 청취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이 지난 18일 포스코퓨처엠 세종 음극재 공장을 찾아 “정부가 가동률 회복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19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강인선 차관은 대선을 마친 미국 정부의 향후 배터리 산업 공급망 관련 정책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음극재 공급망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포스코퓨처엠 공장을 방문했다.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은 “천연흑연과 음극재는 주요 핵심광물 중에서도 굉장히 높은 대외의존도로 인해 공급망 다변화가 절실한 품목”이라며 “가동률 하락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포스코퓨처엠과 같은 우리 기업이 가동률 회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로 바꿔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인선 차관은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와 다변화를 위해 2022년 6월 출범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의 의장을 지난 7월 1일부터 1년간 맡고 있다.
MSP는 현재 14개국(대한민국,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스웨덴, 프랑스, 호주, 핀란드, 독일, 노르웨이, 이탈리아, 인도, 에스토니아)과 유럽연합(EU)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에 이어 1년간 의장국으로 활동하면서 현재 진행중인 MSP 시범사업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MSP 회원국 간 협력을 주도할 계획이다.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생산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은 생산량 기준으로 중국을 제외하면 유일한 세계 10위권에 있지만 최근 저가 공세를 펴고 있는 중국 기업들에 밀려 가동률이 급락해 10위권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내 음극재 국산화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서는 포스코퓨처엠 음극재 사업의 지속적인 유지와 발전이 필수적이어서 한국 정부는 물론 국제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음극재의 글로벌 공급망 확보가 시급한 상황에서 외교부는 앞으로의 MSP 활동 등을 통해 음극재 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글로벌 협력 방안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3월 호주 광산업체 시라 리소시스와 아프리카 모잠비크 광산에서 채굴한 흑연을 2025년부터 연간 최대 6만톤까지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그룹 차원에서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아프리카 탄자니아 마헨게 흑연광산 공동 투자계약을 체결해 연간 최대 6만톤 규모의 흑연 공급망을 확보했다.
- 이차전지소재 3사, 캐즘 영향 1년새 주가 하락
- 포스코퓨처엠,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14억원…전년비 96.3% 감소
- 주한미국대사, ‘포스코퓨처엠’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방문
- 포스코퓨처엠, 1조8,453억원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 계약 체결
- 이차전지소재 3사, ‘전방산업 수요 약화’로 주가 하락세
- 포스코그룹, 탄자니아 흑연광산 개발 투자 확대
-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 밸류데이 개최…2조원 규모 주주환원 발표
- 포스코퓨처엠, 투자 이어 재무건전성·수익성 제고 ‘고심’
- 포스코그룹, 계열사 7곳 수장 교체…포스코 신임대표 이희근 부사장
- 포스코퓨처엠, DJSI 아시아퍼시픽 지수 2년 연속 편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