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산 철강 저가공세 심화될 듯…기업 "수익성 하락 우려"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전기차, 반도체, 의료품을 포함한 중국산 수입품 다수에 대한 급격한 관세 인상 조치의 일부를 오는 8월 1일 발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철강재에 대한 관세 장벽이 강화됨에 따라 '물량 밀어내기'가 심화될 것으로 보여 국내 철강업계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23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인상한다. 또한 배터리, 반도체, 태양 전지, 일부 의료품 등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지난 14일 중국의 과잉생산과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비판하며 철강과 알루미늄, 반도체, 전기차, 태양광 패널 등 중국산 수입품 180억달러(약 24조6,000억원) 상당에 대한 관세 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USTR은 해당 관세 인상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을 6월 28일까지 30일간 수렴할 방침이다.
미국의 관세 장벽 강화에 중국산 철강의 저가 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국내 업계의 수익성 하락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은 자국의 건설경기 침체로 철강 수요가 줄어들자 잉여 물량을 저가로 수출 시장에 풀며 전 세계적으로 1억톤 가량의 공급 과잉을 불러일으켰다.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여기에 더해 엔저를 등에 업은 일본산 철강 공세도 국내 철강사에 가격 경쟁력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홀딩스의 1분기 영업이익은 5,83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3% 감소했으며, 현대제철 또한 영업이익 890억원으로 전년 대비 74.0%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상황이 악화되자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최근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기업 7곳과 ‘철강 수출입 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중국산 철강재 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수렴한 업계 의견을 바탕으로 세계적 공급 과잉과 자국 산업 보호 기조 속에서 철강 산업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지난 17일 “글로벌 철강 공급과잉 및 수요부진, 주요국의 철강 관세 장벽 강화 등으로 국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정부는 국내 철강 산업에 영향을 미칠 통상 이슈에 대해서는 주요국과 대화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외국 철강사들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철강사들은 올해 철강 본원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글로벌 경기부진에 대응할 방침이다. 포스코그룹은 철강설비 효율화를 통해 매년 1조원 원가 절감을 달성하고 저탄소 생산체제로 전환해 제조 및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목표로 고부가강재 개발에 집중하며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 장인화 포스코 회장 “이차전지소재 투자 축소 없을 것”
- "업무도 힙하게"…현대제철, 신규 지식정보 플랫폼 'HIP' 오픈
- "육아, 엄마 몫은 옛말"…포스코, 남직원 육아제도 활용률 증가
- 포스코DX-광양제철소, 제조분야 풀필먼트센터 물류시스템 구축
-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 철강협회 제10대 회장 취임
- 현대제철, 1분기 영업익 558억원…흑자전환
- 포스코그룹, 중견기업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 지원
- 포스코홀딩스 1분기 영업익 5,830억원…전년비 17.3%↓
- 크라카타우포스코, 7억달러 규모 글로벌 채권 발행 성공
- 포스코, 니켈·전구체 생산공장 동시 착공…이차전지 밸류체인 강화
- 현대제철, 부산물 재활용 위한 기술 심포지엄 열어
- 포스코그룹, 해외 리튬사업 강화 글로벌 행보 가속
- 현대제철, 유럽 현지 고객사와 탄소저감 강판 판매 ‘맞손’
- ‘실적 부진’ 포스코홀딩스, 하반기 개선 가능할까
- 철강업계, 실적도 안좋은데 중국 반덤핑 제소까지 ‘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