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부산·경남·DGB대구은행 등…1분기, 중소기업 대출 연체 8,348억원

시중은행과 ‘우량기업’ 대출 경쟁

건전성 하락 가능성 여전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5대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액이 3,000억원 가까이 늘었다. 지방은행은 ‘관계형 금융’ 방식으로 지역 중소기업에 대출을 내준다. 신용도가 낮고 담보 물건이 없어도 지속적인 거래, 접촉, 현장방문을 통해 유망한 중소기업을 발굴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역 경기가 빠르게 악화하면서 이자조차 변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이다. 시중은행보다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지방은행이 더 높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지방은행(BNK부산·경남·DGB대구·광주·전북은행)의 올해 1분기 중소기업 대출 연체액은 8,348억원으로 조사됐다. 1년 전보다 54.8%(2,958억원) 늘어난 액수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평균 연체율은 0.50%에서 0.74%로 0.24%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별로 보면 부산은행의 연체규모가 가장 컸다. 부산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액은 지난해 1분기보다 130.2% 늘어난 2,72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경남은행은 43% 증가한 1,151억원 ▲광주은행은 71.9% 증가한 746억원 ▲전북은행은 68.3% 증가한 1,192억원 ▲대구은행은 12% 증가한 2,537억원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선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은 지방은행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주문하기도 했다. 실제 지방은행 5곳의 전체 대출에서 중소기업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단순 평균 57.4%로 같은 조건에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평균 비중(40.4%)보다 높다.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액이 늘고 있는 것은 지역 경기침체와 맞닿아 있다.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지방 중소기업들의 상환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자연스레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대상 지방은행들이 지난 1분기 신규로 취급한 중소기업 신용대출(1~3등급) 평균 금리는 4.98~6.98%로 지난해 같은 기간(4.72~6.28%)보다 높게 형성됐다. 또 법원 통계월보를 보면 올해 1분기 수도권 외 지방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 건수는 142건으로 지난해 1분기(94건)보다 48건 증가했다.

특히 지방 부동산 경기도 지방은행의 연체율 상승의 주범으로 꼽힌다. 국토교통부(KISCON)의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방 미분양은 5만2987가구로 전체 미분양 주택의 81.5%를 차지했다.

문제는 향후다. 시중은행들이 지방 기업대출 확대 정책을 내세우면서 공격적으로 영업하고 있다. 지방은행과 거래하고 있던 우량한 기업들이 시중은행으로 이탈하는 사례가 늘면서 활로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액(전월대비)은 지난 1월 약 2조8,000억원에서 매달 불어나 지난 4월에는 약 11조원에 이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방은행들이 지난 1분기 상·매각한 부실채권 규모가 4,000억원에 이른다”며 “1년 전보다 61% 증가한 액수인데, 이같은 수치만 봐도 지역 경기가 심상치 않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심각한 것은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인데, 일부 지역에서는 준공 후 한 가구도 계약하지 못한 미분양 사례도 있다”며 “신용도가 낮은 기업에 대출을 내준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연체와 관련된 수치는 지속해 늘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