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데이서 협력 방안 공개…‘AI 서비스 대중화’ 목표
오케스트레이션 강화 일환…카톡·카나나 등 적용될 듯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카카오가 오픈AI(Open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공동 프로덕트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목표 아래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카카오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 날 간담회에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향을 공유했다.
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국내 기업 가운데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와 오픈AI는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한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사업을 구체화해 왔다. 카카오는 오픈AI의 챗GPT 등 최신 AI 기술 API를 카카오톡, 카나나에 활용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다양한 AI 기술을 최적으로 조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한층 강화하게 된다. 지난해 10월 개발자 컨퍼런스 if(카카오AI)에서 처음 공개한 이 전략은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뿐 아니라 외부의 우수한 API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이용자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자본력이 곧 경쟁력이라는 AI 모델 경쟁 환경에서 다들 모델 성능을 얘기할 때, 우리는 어떻게 하면 최고의 모델을 빠르게 확보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현재 개발 중인 카나나(Kanana) 서비스에 자체 언어모델과 더불어 오픈AI의 모델도 함께 활용하기로 했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정 대표는 "지난 연말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 결과 카나나가 바꿀 부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한 만큼 올해 안으로 출시를 생각하고 있지만 새로운 서비스의 정답을 찾아가는 시도 중"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기술 협력을 넘어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구체적인 상품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카카오의 기존 서비스에 오픈AI의 API를 접목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 대표는 "오픈AI와 다양한 협업을 논의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합의까지는 도달하지 않아 말할 수는 없으나 카톡이나 지도 같이 카카오가 가진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니즈가 맞는 지점을 찾아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양사의 전략적 제휴 발표와 함께 두 대표의 대담도 진행됐다. 정신아 대표와 샘 올트먼 CEO는 협업의 비전과 향후 방향성 등에 대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정신아 대표는 이번 협업에 대해 "공동으로 상품을 만든다는 것에 이 파트너십의 테마가 있다"며 "카카오의 프로덕트와 비즈니스 생태계 내에서 오픈AI와 마지막 액션까지 완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양사에서 팀을 꾸려 협업해 나가는 투자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한국 AI 생태계는 AI 채택률 뿐만 아니라 에너지, 반도체 등 AI가 접목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이 갖춰져 있어 정말 좋은 시장으로 보고 있다"며 "평소에도 카카오를 좋아했고 같은 AI 비전을 공유한다는 점 또한 파트너십을 맺게 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샘 올트먼은 이어 “전략적 제휴를 통해 탐구할 수 있는 부분도 풍부해 이번 파트너십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안고 있다"고 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또한 "글로벌 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와의 전략적 협업에 기대가 크다”며 “이번 제휴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 고도화는 물론, 필요한 미래를 더 가깝게 만들려는 카카오의 노력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