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한화·교보생명 등…저축성보험 1년 새 ‘3조’ 이상 급증
“역마진 우려 증폭”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생명보험사들이 판매한 저축성보험이 올해 상반기에만 전년보다 3조원 이상 급증했다.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보험부채(보험금)를 시가로 평가하기 때문에 보험사 입장에선 부담이 크다. 여기에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고금리로 판매한 저축성 상품의 경우 이차역마진을 초래할 수 있다. 판매유인이 적은데도 역행하는 양상을 타나내고 있는 것이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2개 모든 생보사들이 저축성 상품에서 거둔 초회보험료는 총 7조9,6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1%(3조5,161억원) 증가했다.
초회보험료는 고객이 보험에 가입한 뒤 첫 회 납입한 보험료를 말한다. 성장성을 가늠하는 대표적 지표다.
◆ 빅3 생보사, 저축성보험 규모 ‘조’ 단위
생보사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NH농협생명이 1조4,282억원으로 6288.9% 저축성보험 초회보험료가 폭증했다. 이어 한화생명이 1조5,695억원으로 해당금액이 1599.2% 급증했다.
교보생명의 저축성보험 초회보험료는 1조8,273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3.3% 줄었지만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삼성생명의 저축성 상품 초회보험료는 1조2,853억원으로 13.1% 감소했지만 조 단위를 유지했다.
중·소형 생보사들의 저축성보험 판매는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ABL생명은 4,573억원으로, 동양생명은 4,267억원으로 각각 3만8196.4%와 11만9426.1%씩 저축성보험 초회보험료가 폭증했다. 푸본현대생명도 3,807억원으로, 신한라이프생명은 2,345억원으로 각각 10.5%와 3188.8%씩 관련 실적이 증가했다. KB라이프생명의 저축성 상품 초회보험료 역시 2,145억원으로 1941.2% 늘었다.
금리 하락기에 은행 예금금리보다 높은 저축성보험으로 관심이 쏠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흐름에 생보사들의 저축성보험 초회보험료가 급증한 것은 일시납 상품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일시납 상품은 매월 보험료를 내는 월납과 달리 납입기간에 내야 할 보험료를 한꺼번에 내는 계약이다.
일시납 계약의 대부분은 방카슈랑스에서 판매된 연금보험 등의 저축성보험이다. 일각에서는 금리인하기로 접어든 만큼 일시납 계약 급증이 향후 역마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IFRS17에 따라 저축성보험은 소비자에게 돌려줘야 할 환급금 규모가 크고 부채로 잡히는 만큼,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관리가 까다롭다. 또 IFRS17 시행으로 보험사의 부채 평가 기준이 원가에서 시가로 바뀌면서, 부담이 큰 상황이다. 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달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포인트 내리면서 고금리로 판매한 저축성보험은 보험사 입장에선 손해가 클 수밖에 없는 상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하락 시 공시이율이 정기예금이율 보다 높아지면 보험사들의 저축성보험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며 “일시납 상품이 보험사 입장에서 유동성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IFRS17과 시중금리 인하에 따른 장기적 리스크 등을 감안하면 자충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금감원, 새마을금고·농협중앙회 현장점검…집단대출 규제 강화하나
- “100대 기업 임원 승진 확률 0.84%…대형은행 하늘 별따기”
- 금감원, 지급여력비율 내부모형 승인 매뉴얼 마련
- 카카오페이, 3분기 275억원 순손실…티메프 사태 여파
- 4대 금융, 주가 상승 ‘주춤’…“주주환원, 반짝 효과”
- KB손보, 올 하반기 4급 신입사원 공채
- 삼성화재, 착!한해외여행 브랜드 캠페인
- 공정위, 다단계판매사 신규등록·폐업 등 변경사항 16건 공개
- 퇴직연금 계좌 변경시 다양한 혜택 제공…KB증권 이벤트 실시
- 14일 수능일, 은행 영업시간 오전 10시~오후 5시
- 국내 보험사, 3분기 누적 순익 ‘13.3조’
- 시중은행, 저원가 예금 ‘3개월’ 새 ‘6.6조’ 이탈 왜?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내수 부양”
- 금감원, 삼성생명에 기관주의와 20억원 과징금
- 강호동 회장 취임 후 첫 농협중앙회·경제지주 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