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보틱스랩이 개발한 양팔로봇 및 로봇 손 활용한 기술 고도화 연구 진행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국내 최고 로봇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로보틱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는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2일 서울대학교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로봇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설립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사장과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장 교수, 김종규 포스텍 산학협력단 단장,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I·로봇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다.
4개 기관은 산학협력 전문 기관인 현대엔지비와 앞으로 3년동안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운영하며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을 내재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로봇 연구기관의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해 양질의 로보틱스 연구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기로 합의했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공동 연구실 내에서 로봇 하드웨어 분야를 맡는다. 로보틱스랩은 개발중인 로봇 손이 더욱 복잡한 형상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이동형 양팔로봇의 자율 이동과 작업 수행능력을 진일보시키는데 힘을 쏟는다.
서울대학교는 유리와 같은 투명 물체를 조작하기 위한 로봇의 인식 기술을 확보하고 등록되지 않은 물체도 잡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고도화한다. 또한 초광각 카메라를 기반으로 로봇이 공간을 정밀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주행 능력을 높이고 로봇의 양팔이 서로 협동하는 제어 기술을 연구한다.
포스텍은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할 때 필요한 원격 햅틱 장비를 개발하는 등 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에 대한 포괄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비정형 물체를 포함한 다양한 사물 조작 인식 기술을 확보하는데 힘을 보태며 로봇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해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로봇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은 국내 최고 연구 기관이 기술을 함께 개발한다는 의미는 물론 로봇 연구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들은 활발한 공동 연구를 통해 우수 인재 확보와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국내 최고 로봇 연구 기관들이 협력하는 만큼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로봇의 종류와 기술, 서비스를 공격적으로 확장하며 다가올 로보틱스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 현대차·기아, E-FOREST TECH DAY 2024 개최
- 현대차그룹, 국내 8개 대학과 차량 고장 예측 기술 공동 연구실 설립
- 현대차·기아, 세계 최초 프레스 금형 설계 자동화 시스템 개발
- 현대차그룹, 로보틱스 기술로 군인 재활 돕는다
- 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양극재 신규 제조공법 개발 협력
- 현대차·기아, 고객 안심 서비스 연구개발 강화 나서
- 2024 로보월드 개최…역대 최대 291개 기업 참가
- 현대차·기아, ‘2024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 현대차, 3분기 영업이익 3조5809억원…전년동기比 6.5%↓
- 기아·한국전력공사, PBV 활용 미래 전동화·전력 생태계 구축 ‘맞손’
- 기아 3분기 영업이익 2조8812억…전년比 0.6%↑
- 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5기 모집
- 기아, 국내 다섯 쌍둥이 가정에 카니발 9인승 선물
- 현대차·기아, 웨어러블 로봇 테크데이 열고 ‘엑스블 숄더’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