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3사, 5G보다 4G 요금제 비싼 '역전 현상' 개선책 검토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이동통신3사가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국정감사에서 4세대 이동통신(LTE) 요금제가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보다 비싸지는 '역전 현상'에 대해 개선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과방위 소속 최수진(국민의힘) 의원은 "통신 3사 요금 합리화를 위해 5G 요금을 세 차례나 내리고 중저가 요금제도 만들면서, 5G 요금제보다 LTE 요금제가 더욱 비싸지는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고 꼬집었다.
일례로 SK텔레콤의 월 5만원 LTE 요금제는 하루 데이터 4GB를 제공하는데, 5G 요금제는 월 4만9,000원에 데이터 11GB를 제공하는 식이다.
LTE가 5G에 비해 5분의 1 정도 속도가 느린데도 소비자는 더 비싼 요금을 내는 것이다.
선택약정 할인 제도와 관련해서는 24개월 약정을 선택한 경우 12개월 약정보다 중도 해지 위약금이 더 크게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용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안내를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동통신3사는 LTE 요금제 역전 현상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봉호 SK텔레콤 커스터머 사업부장은 "작년 11월 LTE 단말 사용 고객에게 기가바이트 단가가 낮은 5G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편했다"며 "전체적인 요금 개편 때 해당 부분을 잘 참고해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향후 역전 현상이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를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정수현 LG유플러스 컨슈머부문장도 "역전 현상이 일어난 부분에 대해 LTE에서 5G로 옮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2024 국감] KT, 르완다 합작법인 4G 독점권 취소
- 이통3사 24개월 선택약정 12개월보다 ‘불리’
- 이통3사 공시지원금 차별화…LG유플러스 웃을까
- SKT, 글로벌 어워드서 최우수 지속 가능 네트워크 부문 수상
- [2024 국감] 정부, 공공장소 와이파이 예산 전액 삭감
- SKT, 시니어 친화 서비스로 디지털 격차 해소 나서
- KT, MS와 협력 통해 AI·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방안 제시
- [2024 국감] 中企 사이버 침해사고 느는데…정부, 내년 정보보호 사업비 감액
- [2024 국감] 김한규 의원, 산업부 적대적 보도자료에 “안덕근 장관 사과하라”
- [2024 국감] 홈쇼핑 연계 편성 적발 1위 TV조선, 지상파는 MBC
- LG유플러스, AI 스타트업 발굴·육성 프로그램 ‘쉬프트’ 가동
- 한국연구재단, 5년간 부정연구비 1769억... 98.1% 환수 안돼
- 이통3사, 합산 영업익 1.2조 전망인데...고민 깊어지는 까닭
- 5G·6G 융합서비스 한눈에...6G포럼,‘모바일코리아 2024’ 개최
- 이동통신 유통업계, 단말 개통 마감 시간 단축 '입장차'
- 통신3사, 아이 겨냥 불법 스팸 막는다… 키즈폰에 미사용 번호 우선 배정
- "재난방송 사각지대 해소" 방통위,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국무회의 의결
- LG유플러스, 비지상 네트워크 활용 ‘6G 백서’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