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신생아 특례대출 지원 영향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지난해 4분기 감소했던 30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올해 1분기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시행된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자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 아파트 30대 매입 비중은 26.1%로 지난해 4분기 25.0% 보다 늘었다.
전국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 비중은 2022년까지 40대가 1위였다. 하지만 지난해 정부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을 확대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을 공급하는 등 저리의 정책대출 지원을 늘리면서 지난해 1∼3분기 30대의 매입 비중이 40대를 넘어섰다.
지난해 4분기에는 40대의 매입 비중(25.4%)이 다시 증가하면서 30대 매입 비중(25.0%)을 소폭 앞섰다. 올 1분기 30대 매입 비중이 다시 높아진 것은 1월 말부터 시행된 신생아 특례대출 지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출산 2년 내 신생아 자녀를 둔 가정에 특례보금자리론(4%) 보다 낮은 연 1∼3%대의 낮은 금리로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에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한다.
2019년부터 30대의 매입 비중이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서울 아파트 시장의 경우 지난해 4분기 31.3%로 떨어졌던 30대의 매입 비중이 올해 1분기에는 32.4%로 높아졌다.
동대문구는 30대의 매입 비중이 지난해 4분기 29.9%에서 올해 1분기는 36.2%로, 성북구는 30.6%에서 38.3%로, 강북구는 25.9%에서 31.1%로 각각 늘었다. 특히 노원구에서 30대의 매입 비중은 지난해 4분기(30.3%) 보다 높은 31.9%를 기록해 지난해 1분기(33.1%) 이후 1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밖에 ▲금천구(39.3%) ▲강서구(38.6%) ▲관악구(37.2%) ▲마포구(36.1%) ▲송파구(31.5%) ▲양천구(31.3%) 등에서 지난해 4분기보다 30대의 매입 비중이 증가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4분기 27.2%로 줄었던 30대 매입 비중이 올해 1분기 28.2%로 다시 높아졌고, 인천은 26.5%로 지난해 4분기(26.5%)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