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안병용 기자] 삼성SDI가 올해 3분기 5,91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 3조518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4.0%, 작년 동기 대비 22.5% 각각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5,913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손실 3,000억원대)보다 크게 낮았다. 지난해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적자다.
당기순이익은 편광필름 사업 양도에 따른 처분 손익 등의 영향으로 57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배터리 부문 매출은 2조8,2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8%, 전년동기 대비 23.2%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6,30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둔화와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의 미국 관세 정책 영향 등으로 적자폭이 전 분기보다 확대됐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2,31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6.2% 늘었으나 전년동기 대비 12.1% 줄었다. 영업이익은 388억원으로 전 분기(330억원)보다 늘었다.
삼성SDI는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의 수주 활동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원통형 46파이 및 각형 배터리를 기반으로 여러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총 110GWh(기가와트시) 이상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수주도 성공적으로 확정했다.
안전성을 강화한 SBB 1.7, SBB 2.0 등 미국 현지 생산·공급을 위한 차세대 ESS용 라인업을 구축했다.
삼성SDI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4분기에는 유럽 전기차 시장 및 미국 ESS 시장의 성장세 등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ESS용 배터리 부문에서는 이달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내 합작법인 ‘스타플러스 에너지’(SPE)에서 삼원계(NCA) 기반 ESS 배터리 라인 가동을 시작해 미국 현지 생산 체제를 확립했다.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라인 전환을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내년 말 미국 내 ESS용 배터리 생산능력을 연간 30GWh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용 배터리 부문은 하이니켈 원통형 46파이 및 각형 배터리로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LFP 및 미드니켈 배터리 등 보급형 전기차 수주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시장에는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를 기반으로 판매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
삼성SDI는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실적 회복과 함께 중장기 미래 성장 기반을 착실하게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