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 제재 현황 조사 공개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지난해 기업에 부과한 과태료 포함 과징금 규모가 5,5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6% 이상 늘어난 수준인데, 개별 기업집단으로는 쿠팡이 가장 많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공정위의 전체 제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공정위는 기업에 총 5,50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는 전년 4,350억원에 비해 약 1,152억원인 26.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공정위 제재 건수는 124건으로 전년 111건보다 13건 늘었다. 제재대상 308곳 중 고발조치도 34건으로 전년 28건 보다 6건 증가했다.
무엇보다 작년 대기업집단 중 과징금을 가장 많이 부과받은 쿠팡의 부과 금액은 2개 계열사 쿠팡‧CPLB(씨피엘비)에서 총 1,401억7,800만원으로 집계됐다. 다음으로 씨제이의 부과 금액은 245억원이었다. 대상 기업은 씨제이프레시웨이 167억원, 프레시원 78억원 등 2곳이다.
또한, 현대백화점 197억6,300만원, 카카오 152억5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카카오의 경우 작년 카카오모빌리티가 공정위에 잠정적으로 부과받은 금액 724억이었지만 연말 151억으로 최종 확정되면서 카카오 9,800만원, 에스엠브랜드마케팅 250만원 등 총 152억5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도 글로벌세아 148억4,600만원, 삼표 120억6,200만원, 넥슨 116억4,200만원, 효성 112억3,700만원, 케이티 86억600만원, 엘에스 72억7,800만원 순으로 분석됐다고 연구소 측은 공개했다.
- 공정위, "맥주·면세 등 규제개선 통해 경쟁촉진·선택권 확대 효과"
- 공정위, ‘정산 지연·이자 미지급’ 혐의로 쿠팡 제재 나서
- 공정위, 오비맥주의 대리점에 대한 불이익 제공행위 제재
- 공정위, 영어 말하기 앱 '스픽' 환불불가 약관 시정
- 네카오, 광고업 성장세…AI 솔루션 기대감 높아
- 설 연휴, 백화점·대형마트·아웃렛 휴무 조정
- 공정위, 신세계-알리바바 합작회사 기업결합 심사
- 공정위, 거짓·과장 광고한 공단기 제재
- MG손보 매각 실사, 노조 반대로 또다시 불발
- 카카오모빌리티, 브이디컴퍼니와 로봇 서비스 다변화 나서
- 카카오모빌리티, 세븐럭 플러스에 '케이라이드' 연동 지원
- 대기업 근속연수 천차만별…기아 최장 두산밥캣 최단기 근무
- ‘대기업 매출 성장 희비’ 쿠팡·삼바 급등…롯데쇼핑·삼성D 고꾸라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