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공공혁신 리포트 2024’ 발표…공공서비스 효율성 제고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정부가 발송하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에 카카오톡 알림톡을 도입한 후 행정 예산을 약 40억원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혁신 리포트 2024’를 발행하고, 정부 및 공공기관이 카카오 서비스를 활용한 디지털 행정의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이번 리포트의 행정 불편 해소 사례로, 전국 60여 개 지자체가 카카오톡 알림톡을 활용해 지방세 체납 고지 서비스를 운영한 내용이 소개됐다. 행정안전부가 중앙부처 및 지자체 등의 행정기관에서 국민에게 발송하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에 카카오톡 알림톡을 도입하며 발표한 행정 예산 절감 규모는 약 40억원 수준에 달했다. 또, 서울 노원구는 카카오톡 기반 체납 안내 서비스를 통해 도달률이 106% 초과 달성해 적극 행정 우수 사례로 선정된 바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카카오헬스케어와 협력해 구축한 ‘마음건강 챗봇’을 통해 우울증 자가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방청은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에 무료 응급 의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언제 어디서나 민원 상담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등 카카오톡이 행정 효율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 카카오 그룹은 초정밀 버스 시스템과 카카오모빌리티 동보 메시지 시스템을 통해 공공 분야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각 지자체와 협력해 제공하고 있는 초정밀 버스 시스템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실시간 정보와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해 편리함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경찰청과의 협력으로 운영되는 동보 메시지 시스템은 재난 상황과 같은 긴급 공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다.
카카오톡은 2030 젊은 층부터 디지털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어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정보의 격차나 접근의 불편함 없이 디지털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앞으로도 디지털 정부 추진에 국민과의 접근성이 좋은 카카오톡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효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연구소 이사장은 “카카오는 디지털 약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의 연결과 소통에 기여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정책도 지원하며, 공공혁신과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재왕 건국대학교 안보재난관리학과 교수(전 한국국가정보학회 회장)는 “카카오는 기술과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 연령, 인종, 학력 등과 무관하게 차별없는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정보 양극화 해소 및 실질적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 그룹의 서비스는 행정 서비스의 비용 절감, 업무 효율성 증대와 함께 정보 격차 해소, 민원 처리 대응 등 사회 문제 해결의 기반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공공혁신이 보다 활발해지고, 플랫폼 이용자가 더 안전하게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 브런치스토리, '브런치 작가 멤버십' 신규 도입
- K-웹툰, IP 콘텐츠 확대 집중…해외 공략 가속
- 카카오T, 지난해 연말 탑승 성공률 83.4%…"기술 고도화 효과"
- 카카오뱅크, 개인사업자 고객 위한 ‘부가세박스’ 출시
- 현대건설, 제5회 안전관리 우수 협력사 포상제도 시상식 개최
- 카카오 ‘공공기관 채널 전용 채팅방 배경’ 제공
- 카카오맵, 공항철도 혼잡도 서비스 오픈
- 카카오, 전자증명서 기반 자격카드 신규 출시
- '오픈AI' 샘 올트먼 CEO, 내일 정신아 카카오 대표 만나
- 카카오모빌리티, 브이디컴퍼니와 로봇 서비스 다변화 나서
- 카카오모빌리티, 세븐럭 플러스에 '케이라이드' 연동 지원
- 카카오헬스케어, 한국의정연수원과 스마트 헬스케어 교육 지원 업무협약 체결
-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AI 학습용 데이터셋’ 공개
- 카카오헬스케어 파스타, ‘iF 디자인 어워드 2025’ 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