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與, 책임론 놓고 내홍 격화…한동훈, 당 대표직 사퇴

野, 탄핵 인용 후 대비…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 ‘관건’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지난 14일 국회에서 가결됐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직무정지와 함께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본격 가동됐다. 이처럼 정세가 급격한 변화를 맞은 가운데 여야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주하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권한대행)는 국회와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정국의 빠른 안정은 물론, 대내외적인 이미지 회복 등 일련의 상황 수습을 위해 소임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내비쳤다.

한 권한대행은 대통령 권한을 넘겨받은 14일 오후 7시 24분 이후 대국민담화를 통해 경제와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내수부진, 경기하방 위험 확대 등 대내외적 어려운 여건을 되짚으면서 극복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한 대행은 “국민이 처한 현 상황과 그에 이르게 된 전 과정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국민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은 “굳건한 안보태세 확립과 대외신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한·미, 한·미·일, 우방과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전 내각이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가 먼저 자세를 낮추고 국회와 긴밀히 소통하고 협조를 얻어 국제 사회의 신뢰를 유지하고, 국민 여러분들께서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 안정된 국정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희비가 엇갈렸다.

먼저 여당인 국민의힘은 책임론을 놓고 내홍이 격화된 상태다. 지난 14일 최고위원 5명 전원이 사퇴를 표명한 데 이어 한동훈 대표는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표직을 내려놨다. 이는 한 전 대표가 올해 7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선출된 이후 140여일 만이다.

이날 한동훈 대표는 “국민의힘 당 대표직을 내려놓는다. 최고위원들 사퇴로 최고위가 붕괴돼 더 이상 당 대표로서의 정상적인 임무 수행이 불가능해졌다”며 “비상계엄 사태로 고통 받은 모든 국민께 진심으로 죄송하다. 탄핵안 찬성은 여전히 후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됐다. 같은 날 오후 국민의힘 중진들은 비공개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비대위 구성에 대한 총의를 모으는 절차를 이어갔다.

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탄핵소추안 가결로 일단락의 고비를 넘겼다면서도 헌법재판소에 인용되기까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후속 사항을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한덕수 권한대행과의 협력을 공고히 하기 위한 초당적인 국정안정협의체를 연이어 제안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조기 대선을 염두하고 국정 운영에 야당의 존재감을 확고히 하기 위한 포석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기 대권주자에 대해 여당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안철수 의원(국민의힘, 경기성남시분당구갑),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야당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대세론이 굳어지는 분위기임에도 아직 마무리 짓지 못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다시금 부각되는 만큼 더불어민주당도 여전히 복잡한 속내를 띨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또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오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개최하고 민생 살리기 위한 과제들을 점검했다. 윤 대통령 탄핵 절차와 내란죄 규명 전략 등을 살펴보면서 향후 행보도 다졌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민생입법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숨통을 틔울 내수 활성화 입법을 빠르게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민생경제회복단’이라는 이름으로 허영 간사가 단장을 맡아 추경, 민생입법 과제들에 대해 논의 예정”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