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최근 친환경 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생분해 제품)을 구입‧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이 생분해 제품의 광고 실태와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3일 밝혔다.
이날 소비자원에 따르면, 조사대상 제품 80개 모두 환경성 관련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소비자는 환경을 위해 생분해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는 높았지만 해당 제품의 특성과 사용 후 처리 방법 등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행 환경성 표시·광고 관리제도에 관한 고시는 객관적·과학적 근거 없이 포괄적인 환경성 용어나 표현으로 소비자가 오인할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생분해 제품 80개의 온라인광고 실태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전 제품이 소비자가 오인할 수 있는 광고를 하거나, 시험성적서 또는 인증서를 판매페이지에 제시하지 않고 광고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
부당광고 유형별로는 별도 퇴비화 시설에서 분해 가능한 제품으로 인증을 받았음에도 인증 내용과 다르게 자연 생분해, 100% 생분해, 산화 생분해 등을 생분해로 주장하는 표현을 사용한 제품이 54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배출 가능 등 잘못된 처리 방법을 광고한 제품이 7개였다.
여기에 시험성적서 및 인증서 등 과학적 근거를 판매페이지에 제시하지 않은 제품도 41개로 집계됐다.
소비자원은 부당한 환경성 광고로 확인된 제품을 제조·판매한 사업자에게 시정을 권고했으며, 80개 중 76개 사업자는 시정권고에 따라 부당광고의 개선계획을 회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생분해 제품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431명(86.2%)이 생분해 제품이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환경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431명 중 380명(88.2%)은 생분해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었고, 342명(79.3%)은 일반 제품보다 비용을 더 지불하더라도 생분해 제품을 구매하겠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일반 생활용품의 경우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고 일정 조건을 갖춘 퇴비화 시설에서만 분해되는 제품에 대해 생분해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퇴비화를 위해 사용이 끝난 생분해 제품을 별도로 수거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종량제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이번 인식조사에서 이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500명 중 91명(18.2%)에 불과했고, 토양에 매립 후 자연 분해되거나 재활용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소비자는 409명(81.8%)이었다. 더불어 373명(74.6%)은 생분해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 후 배출 방법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관부처와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시중에 유통 중인 생분해 제품의 모니터링 강화, 생분해 제품 제조·판매 사업자에 대한 환경성 표시·광고 제도의 홍보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생분해 제품을 구매 시 환경표지 인증마크(EL724)와 생분해 관련 시험성적서나 인증서 등을 확인하고 생분해 제품은 사용 후 종량제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