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KAIST와 7~15㎓·140~160㎓ 대역 전파 특성 연구 진행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LG유플러스는 LG전자-KAIST 6G연구센터와 함께 차세대 6G 통신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측정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의 개발 준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표적인 6G 후보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동통신에 필수적인 주파수는 국제적으로 조화로운 사용을 위해 표준화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국제전기통신연합 세계전파회의(WRC-23)에서는 한국이 제안한 4.4~4.8㎓, 7.125~8.4㎓, 14.8~15.35㎓ 주파수 대역이 6G 후보 주파수로 채택된 바 있다. 또한 2030년 이후의 추가 주파수 할당을 고려하면서 140~160㎓ 대역 범위를 포함한 100㎓ 이상의 광대역 후보 대상 주파수들이 지정된 바 있다.
LG유플러스와 LG전자-KAIST 6G연구센터는 이들 후보 대역 중에서도 7~15㎓ 사이 어퍼-미드 밴드와 140~160㎓ 사이 서브-테라헤르츠 밴드 대역을 선정해 실험을 진행했다. 유리, 목재, 화강암 등 다양한 건축 자재에 각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쏘아 투과와 반사 시 발생하는 손실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번 측정 연구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신호 흡수판, 주파수 별 최적 안테나 활용과 함께 로봇 팔로 구성된 자동화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적용했다.
LG유플러스와 LG전자-KAIST 6G연구센터는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6G 표준 기술 개발과 이동통신 셀 설계 전략에 활용할 계획이다. 나아가 실제 환경을 반영한 실험을 이어 나갈 방침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 주요 주파수에 대한 의미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영호 LG전자 C&M표준연구소장은 “6G 글로벌 표준화가 내년부터 본격화함에 따라 6G 핵심 주파수 대역 발굴과 함께 해당 대역에서의 전파 특성 이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동호 KAIST 명예교수는 “6G 이동통신 후보 주파수인 7~15㎓와 140~160㎓의 전파투과 및 반사특성 연구결과는 6G 무선전송 및 접속분야의 원천 및 핵심기술 개발에 긴요하게 사용돼 6G 시스템 및 단말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LG유플러스·KT, 6G 미래 기술 준비 '착착'
- "6G 구현 위한 주파수 정책·상용화 계획 마련 시급"
- LG유플러스, 비지상 네트워크 활용 ‘6G 백서’ 발간
- 5G·6G 융합서비스 한눈에...6G포럼,‘모바일코리아 2024’ 개최
- LG유플러스, 전력 사용 줄이는 6G 기술 실증
- LG유플러스, ‘네트워크 우수 협력사 싱상식’ 개최
- LGU+, 포스텍·코닝과 협력 ‘6G RIS’ 검증
- LG유플러스 ‘유쓰’, ‘대학생 트렌드 키워드’ 발표
- 과기정통부, ‘전파산업인의 날’ 기념식 개최…“전파산업인이 한자리에”
- 글로벌 CP 망 이용대가 ‘논란’…해결 실마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