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쿠팡이 국내에서 창출한 일자리가 8만명을 돌파했다. 저출산과 인구소멸, 경기침체에도 구직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쿠팡은 10일 ‘2024 쿠팡 임팩트 리포트’를 통해 쿠팡과 물류배송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의 직고용 인력이 9월 기준 8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쿠팡의 직고용 인력은 지난 1월 7만 명에 도달했고, 약 8개월 만에 약 1만 명 가까이 늘었다.
쿠팡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날수록 지역에 더 많은 물류 인프라가 구축되고, 저출산 위기에 직면한 소도시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지역 청년들에게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쿠팡의 지방 물류센터에서 근무하는 2030 청년 직고용 인력 비중은 51% 이상이다. 이는 같은 기간 수도권에 있는 쿠팡 물류센터의 2030 청년 비중보다 높은 수치다.
여성과 장애인 일자리도 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쿠팡은 2만명 이상의 여성 일자리를 창출했고, 물류센터 근무자의 절반이 여성이다. 장애인 고용인력은 1300명을 넘어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쿠팡은 저출산 감소를 위해 출산 장려와 직원 건강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육아제도를 사용한 쿠팡의 배송 직원 중 85% 이상인 약 500명이 육아휴직을 썼고, 그 외 100여명은 육아기 단축근로를 이용했다. 육아제도를 쓴 직원 97%는 일터로 복귀했다.
근로자들이 수시로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쿠팡 헬스케어센터와 쿠레스트 정신건강 상담센터엔 현재까지 100억원 이상 투자했고, 약 2만5000명의 직원이 사용했다.
지역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입점 소상공인들은 쿠팡으로 판로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를 넘어 대만 로켓배송을 통해 수출을 늘리는 업체도 크게 확대됐다.
쿠팡에 입점한 중소상공인은 지난해 기준 약 23만 명으로 1년 사이 약 3만 명 증가했다. 이들의 거래금액도 12조 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약 30% 올랐다.
국내를 넘어 대만 로켓 직구와 로켓배송으로 수출에도 속도가 붙었다. 대만에 수출하는 소상공인의 거래액은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2600% 이상 올랐다. 수출에 나선 소상공인 수도 같은 기간 140% 늘었다. 대만에 수출하는 쿠팡 입점 업체의 약 70%는 중소상공인이다.
쿠팡 관계자는 “앞으로도 적극적인 추가 물류 인프라 투자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균형 있는 지역 발전에 앞장서는 동시에 소상공인들에게 새로운 시장의 기회를 열어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