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유발효과 5만3,000명…3년 동안 약 13만4,400명 일자리 창출 기여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카카오가 지난해 카카오 그룹이 우리 사회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기업 홈페이지에 2일 공개했다. 이번 분석 결과는 한양대학교 김용규 경제학부 교수, 서강대학교 전현배 경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한종희 경제학부 교수의 감수를 받았다.
카카오는 이용자의 일상에 혁신을 불러일으켜온 디지털 전환의 노력이 산업적으로 가지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이번 분석을 실시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카카오 그룹이 직간접적으로 국내 산업에 창출한 생산유발효과는 15조2,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메신저에서 시작해 문화 콘텐츠, 금융,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새로운 시장을 발굴하고 IT 산업의 저변을 꾸준하게 확대해온 결과 2021년에서 2023년까지 매년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며, 3년 동안 총 생산유발효과 약 39조3,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9조5,000억원을 창출한 것으로 분석됐다.
카카오 그룹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공개됐다. 2023년 고용유발효과는 약 5만 3,000명으로, 최근 3년 동안 약 13만4,400명의 고용 유발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벤처스, 카카오스타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페이, 카카오헬스케어 등 총 10개사가 각각의 산업군 내에서 사회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60개의 지표들도 살펴볼 수 있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톡 채널로 고객과 소통하는 파트너 수가 200만명을 돌파하고, 톡채널을 통해 파트너가 절감한 마케팅 비용은 월평균 약 347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약 1,800여개의 공공기관에서 알림톡을 통해 행정 편의를 높이고 있으며, 카카오톡 지갑으로 발송된 전자문서는 4억7,000건에 달하는 등 일상 속의 불편함을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스타트업의 동반자 역할을 꾸준히 해온 카카오벤처스의 노력과 포용적 금융을 지향하는 카카오뱅크 및 금융의 불편함을 해소해온 카카오페이의 성과, 건강한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를 위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주요 지표 등 다양한 사회적 기여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사회문제 해결 위해 AI 특화 클라우드 지원 나서
-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신규 AI 서비스 소개
- 카카오, 그룹 통합 상생 사업 슬로건 발표…‘더 가깝게, 카카오’
- 카카오, AI 언어모델 펑션콜 성능 평가 데이터셋 구축
- 공정위, 카카오모빌리티 독점력 남용행위 제재…724억원 부과
- 카카오 'i 번역', 내달 웹페이지 종료…번역 기능 축소 되나
- 카카오, 동물의 날 기념 '전지적 친구 시점' 캠페인 진행
- 카카오, 브런치스토리 첫 오프라인 팝업 전시 진행
- 카카오, 다음 새 언론사 입점 프로세스 발표
- 가평 ‘자라섬 수자인 리버페스타’ 11일 견본주택 개관
- 카카오모빌리티, 내비 데이터 기반 목적지 랭킹 서비스 ‘요즘뜨는' 오픈
- 멜론, 틱톡 ‘음악 앱에 추가’ 신규 파트너 합류
-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솔루션 ‘브링’, 주거공간 적용 확대
- 카카오헬스케어, 당원병 환우 위한 AI 솔루션 개발 나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中 음악플랫폼 왕이윈뮤직과 파트너십 체결
- 카카오모빌리티 '브링' 서비스 영역 확대…실외 배송 추진
-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순익 3,556억
- 카카오게임즈, 3분기 매출 1939억…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
- 카카오클라우드, 국내 대규모 게임 축제서 네트워크 파티 개최
- 카카오헬스케어, 사회 취약계층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접근성 향상 나서
- 카카오뱅크,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 출시
- 카카오클라우드 홈페이지 새 단장…사용자 접근성 개선
- 카카오게임즈, 카카오VX 매각 결정… 핵심 사업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