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한국은행은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전환(피벗)를 두고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유상대 부총재 주재로 개최한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미국 연준의 피벗이 시작돼 향후 국내 경기·물가와 금융 안정 여건에 집중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 있는 여력이 커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17~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통해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에서 4.75~5.00%로 0.5%포인트(p) 인하했다. 연준은 성명서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게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얻었다“며 긴축 완화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실업률의 고통스러운 상승 없이 가격 안정성을 복원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번 금리 인하는 이러한 연착륙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19가 처음으로 확산했던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에 첫 금리 인하다. 연준의 통화 정책 전환으로 200bp(1bp=0.01%포인트)에 달했던 한미 금리 역전폭이 1년 3개월 만에 좁혀졌다
이에 한국은행은 ”연준은 정책금리를 0.5%p 인하하고 경제전망(SEP)에서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낮추고 실업률 예상치를 높였다“며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향후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이 다소 매파적(통화정책 강경파)으로 평가되면서 주가는 하락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향후 주요국의 통화정책이 각국 상황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는 데다 미국 대선, 중동 사태 등 지정학 리스크의 전개 양상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시장 모니터링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외신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발표가 한국 등 다른 나라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을 단행하자 한국 등 다른 나라도 이를 추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