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피탈사, 5곳 중 1곳은 연체율 10% 넘어…금감원, 적기시정조치 검토 계획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금융감독원이 캐피탈사 10여곳에 대해 현장점검에 나선다. 지난 3월 말 기준 캐피탈사 5곳 중 1곳은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가운데 6월 말부터 일부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증해 유동성 상황이 좋지 않아져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캐피탈사 10여곳에 대해 전반적인 현장점검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중소형사 중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6월 말 기준 30%~50% 치솟은 경우가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감독원 경영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리스·할부금융 등을 하는 51개 캐피탈사 중에서 11곳은 연체율이 3월 말 기준 10%를 넘었다. 자산규모 하위 업체들 중 연체율이 20%대(2곳), 30%대(1곳)을 넘어 88.9%까지 치솟았다.
앞서 나이스신용평가가 발표한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 PF 관련 예상 최대 손실액은 캐피탈사가 5조원으로 제2금융권 중 가장 큰 가운데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 강화와 PF 부실 확대로 중소형 캐피탈사를 중심으로 자산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연체율이 늘고 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고 차입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현장점검에서 자본적정성·자산건전성·수익성·유동성 부문 등에 대해 종합평가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적기시정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또, 취약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캐피탈사더라도 현장점검 결과 자산건전성 악화가 확인될 시 연체율·유동성 등 경영관리계획을 제출받을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