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SQL 변환 모델…정확도·효율성 고득점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두나무 인공지능(AI) 모델이 정확성과 속도면에서 글로벌 리더보드 1위에 올랐다.
블록체인·핀테크 기업 두나무는 자사 머신러닝팀이 연구·개발한 텍스트-SQL 변환 모델이 글로벌 AI 모델 평가 지표인 BIRD-SQL에서 글로벌 리더보드 1위를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텍스트-SQL 변환 모델은 사람의 언어를 데이터 관리 프로그래밍 언어인 SQL로 변환하는 AI 모델이다. 이 모델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관심을 받는 연구 분야다.
두나무 머신러닝팀이 이번에 개발한 텍스트-SQL 모델은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을 입력했을 때 데이터 중 SQL 변환이 필요할 경우 빠르고 정확하게 추출해 챗GPT 성능을 강화시킨다.
특히 AI 모델 성능 측정 벤치마크인 BIRD-SQL은 글로벌 리더보드에서 정확도, 효율성 점수를 65.4%, 71.3%씩 각각 받으며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이는 GPT-4의 정확도(54.8%)와 효율성(60.7%)을 각각 10% 이상 상회하는 수치다.

아울러 2위 모델과도 정확도 항목에서 4.7%, 효율성에서 3.6%의 높은 성능 격차를 기록했다. BIRD-SQL은 처음 1위에 오른 지난 14일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선두를 지키고 있다.
두나무는 이번 연구를 통해 증권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대화형 서비스 ‘우디’의 자연어를 통한 종목 스크리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동준 두나무 머신러닝팀장은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AI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두나무는 보다 정교하게 자연어를 이해하고 누구나 쉽게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며 “명령어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거대언어모델(LLM)의 한계점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춰 두나무의 다양한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 머신러닝팀은 주식과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활용되는 AI 모델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현재 AI 모델링과 튜닝, 모델 평가 매트릭 설정 등 다양한 데이터를 발굴해 두나무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 두나무 “지난해 비트코인 170% 상승…UBMI 연초 대비 2배 이상”
- 두나무 넥스트잡, 자립준비청년 ‘빙상 스포츠 직업 탐방’ 행사 진행
- 두나무, 세계 토양의 날 맞아 ‘시드볼트 NFT 컬렉션’ 공개
- 두나무, 3분기 영업익 1,018억원…전년비 39.6% 감소
- 업비트 NFT, 새해맞이 럭키 드로우 NFT 이벤트 진행
- 업비트-서울경찰청, 보이스피싱 피해액 50억원 환급
- “파면 팔수록 빛나는 비상장 주식 주목해야”
- 두나무, 2023년 영업익 6,409억원…전년비 21% 감소
- 두나무 임직원, ‘나두-으쓱 캠페인’ ESG 경영 실천
- 증권플러스 비상장, 케이뱅크에 비상장주식 시세 정보 제공
- 두나무,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3,356억원…전년비 58.3% 상승
